반응형

1.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1) 슈퍼타입/서브타입 모델의 성능고려 방법

가. 슈퍼/서브타입 데이터 모델의 개요

Extended ER모델이라고 부르는 이른바 슈퍼/서브타입 데이터 모델은 최근에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자주 쓰이는 모델링 방법이다.

이 모델이 장점은 데이터의 특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공통의 부분을 슈퍼타입으로 모델링하고 공통으로부터 상속받아 다른 엔터티와 차이가 있는 속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서브엔터티로 구분하여 업무의 모습을 정확하게 표현하면서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로 변환을 할 때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많은 프로젝트에서 슈퍼/서브타입을 활용한 데이터 모델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당연히 슈퍼/서브타입의 데이터 모델은 논리적 데이터 모델에서 이용되는 형태이고 분석/설계단계를 구분하자면, 분석단계에서 많이 쓰이는 모델이다. 따라서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는 단계에서는 슈퍼/서브타입 데이터 모델을 일정한 기준에 의해 변환을 해야 한다. 

 

 

나. 슈퍼/서브타입 데이터 모델의 변환

성능을 고려한 슈퍼타입과 서브타입의 모델 변환의 방법을 알아보면 그림과 같다.

슈퍼/서브타입 변환시 성능이 저하되는 이유

트랜잭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테이블이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1> 트랜잭션은 항상 일괄로 처리하는데 테이블은 개별로 유지되어 Union연산에 의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2> 트랜잭션은 항상 서브타입 개별로 처리하는데 테이블은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데이터가 집약되어 있어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3> 트랜잭션은 항상 슈퍼+서브 타입을 공통으로 처리하는데 개별로 유지되어 있거나 하나의 테이블로 집약되어 있어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해당 테이블에 발생되는 성능이 중요한 트랜잭션이 빈번하게 처리되는 기준에 따라 테이블을 설계해야 이러한 성능저하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슈퍼/서브타입을 성능을 고려한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는 기준데이터 양해당 테이블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결정된다.

 

 

데이터량이 소량일 경우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처리의 유연성을 고려하여 1:1 관계를 유지한다.

그러나 데이터용량이 많아지는 경우 그리고 해당 업무적인 특징이 성능에 민감한 경우는 트랜잭션이 해당 테이블에 어떻게 발생되는지에 따라 3가지 변환방법을 참조하여 상황에 맞게 변환하도록 해야 한다.

 

 

다. 슈퍼/서브 타입 데이터 모델의 변환기술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에서 설계한 슈퍼타입/서브타입 모델을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로 전환할 때 주로 어떤 유형의 트랜잭션이 발생하는지 검증해야 한다.

물론 데이터량이 아주 작다면, 예를 들어 10만 건도 되지 않고, 시스템을 운영하는 중에도 증가하지 않는다면 트랜잭션의 성격을 고려하지 않고 전체를 하나의 테이블로 묶어도 좋은 방법이다.
그러나 데이터량이 많이 존재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도 많다면 슈퍼타입/서브타입에 대해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로 변환하는 세 가지 유형에 대해 세심하게 적용을 해야 한다.

 

1> 개별로 발생되는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개별 테이블로 구성
업무적으로 발생되는 트랜잭션이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각각에 대해 발생하는 것이다.
그림의 업무화면을 보면 공통으로 처리하는 슈퍼타입테이블인 당사자 정보를 미리 조회하고 원하는 내용을 클릭하면 거기에 따라서 서브타입인 세부적인 정보 즉 이해관계인, 매수인, 대리인에 대한 내용을 조회하는 형식이다.

즉 슈퍼타입이 각 서브타입에 대해 기준역할을 하는 형식으로 사용할 때 이러한 유형의 트랜잭션이 발생이 된다.

위와 같이 슈퍼타입과 서브타입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트랜잭션이 발생이 되면 슈퍼타입에도 꼭 필요한 속성만을 가지게 하고 서브타입에도 꼭 필요한 속성 및 자신이 타입에 맞는 데이터만 가지게 하기 위해서 모두 분리하여 1:1 관계를 갖도록 한다.

실전프로젝트에서는 데이터량이 대용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공통으로 이용하는 슈퍼타입의 속성의 수가 너무 많아져 디스크 I/O가 많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와 같이 각각을 1:1 관계로 가져가는 경우도 있다.

 

 

 

2> 슈퍼타입+서브타입에 대해 발생되는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슈퍼타입+서브타입 테이블로 구성
만약 대리인이 10만 건, 매수인 500만 건, 이해관계인 500만 건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고

슈퍼타입과 서브타입이 모두 하나의 테이블로 통합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매수인, 이해관계인에 대한 정보는 배제하고 10만 건뿐인 대리인에 대한 데이터만 처리할 경우 다른 테이블과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곳에서 처리해야 하므로 불필요한 성능저하 현상이 유발된다.

즉 대리인에 대한 처리가 개별적으로 많이 발생하는데 매수인과 이해관계인의 데이터까지 포함되어 있으므로 최대 10만 건을 읽어 처리할 수 있는 업무가 최대 1010만 건을 읽어 처리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슈퍼타입과 서브타입을 묶어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업무특징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다음 데이터 모델과 같이 슈퍼타입+각서브타입을 하나로 묶어 별도의 테이블로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3> 전체를 하나로 묶어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는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
대리인 10만 건, 매수인 500만 건, 이해관계인 500만 건의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처리할 때 대리인, 매수인, 이해관계인을 항상 통합하여 처리한다고 하면 테이블을 개별로 분리해야 불필요한 조인을 유발하거나 불필요한 UNION ALL과 같은 SQL구문이 작성되어 성능이 저하된다. 비록 슈퍼타입과 서브타입의 테이블들을 하나로 묶었을 때 각각의 속성별로 제약사항(NULL/NOT NULL, 기본값, 체크값)을 정확하게 지정하지 못할지라도 대용량이고 성능향상이 필요하다면 하나의 테이블로 묶어서 만들어 준다.

 

 

3가지 전개 방식이 아주 간단한 원리 같은데 이것도 실전 프로젝트에서 적용하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때로는 각각의 유형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혼합된 트랜잭션 유형이 있는 경우는 많이 발생하는 트랜잭션 유형에 따라 구성하면 된다.

 

 

라. 슈퍼/서브타입 데이터 모델의 변환타입 비교

 

 


 

2) 인덱스 특성을 고려한 PK/FK 데이터베이스 성능향상

가. PK/FK 컬럼 순서와 성능개요

데이터를 조회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접근경로를 제공하는 오브젝트가 바로 인덱스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서는 균형 잡힌 트리구조의 B*Tree구조를 많이 사용한다.

우리는 B*Tree구조의 내부 알고리즘까지는 알 필요가 없더라도 그 구조를 이용할 때 정렬되어 있는 특징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이 특징에 따라 설계에 반영해야 할 요소에 대해서는 반드시 알고 있어야 좋은 데이터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프로젝트에서 PK/FK설계는 업무적 의미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데이터를 접근할 때 경로를 제공하는 성능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능을 고려한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설계단계 말에 컬럼의 순서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간단한 것 같지만 실전 프로젝트에서는 아주 중요한 내용이 바로 PK순서이다.

성능저하 현상의 많은 부분이 PK가 여러 개의 속성으로 구성된 복합식별자 일 때 PK순서에 대해 별로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 모델링을 한 경우에 해당된다.

특히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는 스스로 생성된 PK순서 이외에 다른 엔터티로부터 상속받아 발생되는 PK순서까지 항상 주의하여 표시하도록 해야 한다.

PK는 해당 해당테이블의 데이터를 접근할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유일한 인덱스(Unique Index)를 모두 자동 생성한다. PK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은 인덱스 정렬구조를 이해한 상태에서 인덱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PK순서를 지정해야 한다.

즉 인덱스의 특징은 여러 개의 속성이 하나의 인덱스로 구성되어 있을 때 앞쪽에 위치한 속성의 값이 비교자로 있어야 인덱스가 좋은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 앞쪽에 위치한 속성 값이 가급적 ‘=’ 아니면 최소한 범위 ‘BETWEEN’ ‘< >’가 들어와야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모델링 때 결정한 PK순서와는 다르게 DDL문장을 통해 PK순서를 다르게 생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는 데이터 모델의 PK 순서에 따라 그대로 PK를 생성한다.

만약 다르게 생성한다고 하더라도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구조가 다른 것처럼 보여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또한 FK라고 하더라도 데이터를 조회할 때 조인의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FK에 대해서는 반드시 인덱스를 생성하도록 하고 인덱스 칼럼의 순서도 조회의 조건을 고려하여 접근이 가장 효율적인 칼럼 순서대로 인덱스를 생성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나. PK컬럼의 순서를 조정하지 않으면 성능이 저하되는 이유

먼저 데이터 모델링에서 엔티티를 설계하고,

그에 따라 DDL이 생성이 되고 생성된 DDL에 따라 인덱스가 생성된다.

이 때 우리가 알아야 할 구조는 인덱스의 정렬구조에 해당된다.


그림은 인덱스의 정렬구조가 생성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에서 보면 테이블에서 데이터 모델의 PK순서에 따라 DDL이 그대로 생성이 되고 테이블의 데이터가 주문번호가 가장먼저 정렬되고 그에 따라 주문일자가 정렬이 되고 마지막으로 주문목록코드가 정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렬 구조로 인해 데이터를 접근하는 트랜잭션의 조건에 따라 다른 인덱스 접근방식을 보여주게 된다.
위와 같은 인덱스의 정렬 구조에서 SQL구문의 조건에 따라 인덱스를 처리하는 범위가 달라지게 된다. 맨 앞에 있는 인덱스 칼럼에 대해 조회 조건이 들어올 때 데이터를 접근하는 방법은 다음 그림과 같다.

 

 

인덱스의 정렬된 첫 번째 칼럼에 비교가 되었기 때문에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찾아가게 된다. 맨 앞에 있는 칼럼이 제외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조회 할 경우 데이터를 비교하는 범위가 매우 넓어지게 되어 성능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그림의 예에서는 주문번호에 대한 비교값이 들어오지 않으므로 인해 인덱스 전체를 읽어야만 원하는 데이터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덱스를 읽고 테이블 블록에서 읽어 처리하는데 I/O가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옵티마이저는 차라리 테이블에 가서 전체를 읽는 방식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모습으로 인덱스의 정렬구조를 이해한 상태에서 인덱스에 접근하는 접근유형을 비교해보면 어떠한 인덱스를 태워야 하는지 어떠한 조건이 들어와야 데이터를 처리하는 양을 줄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1> PK의 순서를 인덱스 특징에 맞게 고려하지 않고 바로 그대로 생성.

2> 테이블에 접근하는 트랜잭션의 특징에 효율적이지 않은 인덱스가 생성되어있음.

3> 인덱스의 범위를 넓게 이용하거나 Full Scan을 유발하게 되어 성능이 저하.

 

 

 

 


 

2.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1)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가.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가상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베이스.

나. 논리적으로 동일한 시스템에 속하지만,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모임.

물리적 Site 분산, 논리적으로 사용자 통합·공유

 

즉, 분산 데이터베이스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빠른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지역 여러 노드로 위치시켜 사용성/성능 등을 극대화 시킨 데이터베이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2)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투명성(Transparency)

투명성 (Transparency) 이란?

공학적으로는 세부사항을 숨겨서 보이지 않게 하여 (마치 투명하게) 관리의 용이성을 증대시키는 등의 기술을 말함

 

 

가. 분할 투명성 (단편화) : 하나의 논리적 Relation이 여러 단편으로 분할되어 각 단편의 사본이 여러 장소에 저장
나. 위치 투명성 : 사용하려는 데이터의 저장 장소 명시 불필요. 위치정보가 System Catalog에 유지되어야 함
다. 지역사상 투명성 : 지역DBMS와 물리적 DB사이의 Mapping 보장. 각 지역시스템 이름과 무관한 이름 사용 가능
라. 중복 투명성 : DB 객체가 여러 site에 중복 되어 있는지 알 필요가 없는 성질
마. 장애 투명성 : 구성요소(DBMS, Computer)의 장애에 무관한 Transaction의 원자성 유지
바. 병행 투명성 : 다수 Transaction 동시 수행시 결과의 일관성 유지, Time Stamp, 분산 2단계 Locking을 이용 구현

 

 


3)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적용 방법 및 장단점

가. 분산 데이터베이스 적용방법

분산 환경의 데이터베이스를 성능이 우수하게 현장에서 가치 있게 사용하는 방법은 업무의 흐름을 보고 업무구성에 따른 아키텍처 특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것이다. 단순히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업무의 특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분산구조를 선택적으로 설계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만을 보았을 때는 데이터베이스 분산설계라는 측면보다는 데이터베이스 구조설계(아키텍처)라는 의미로 이해해도 무방할 것이다.

 

 

나. 분산 데이터베이스 장단점

 


4)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활용 방향성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업무적인 기능이 다양해지고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최근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적용하는 고급화된 기술이다.

업무적인 특징에 따라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5) 데이터베이스 분산구성의 가치

데이터를 분산 환경으로 구성하였을 때 가장 핵심적인 가치통합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할 수 없는 빠른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원거리 또는 다른 서버에 접속하여 처리하므로 인해 발생되는 네트워크 부하 및 트랜잭션 집중에 따른 성능 저하의 원인을 분산된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구축하므로 빠른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바로 이 점 때문에 분산 환경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6)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적용 기법

데이터베이스의 분산의 종류에는

 

가. 테이블 위치 분산

나. 테이블 분할 분산

다. 테이블 복제 분산

라. 테이블 요약 분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의 테이블의 복제 분할 분산의 방법이고 이 방법은 성능이 저하되는 많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장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방법이 된다.

분산 환경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 방법은 일단 통합 데이터 모델링을 하고 각 테이블별로 업무적인 특징에 따라 지역 또는 서버별로 테이블을 분산 배치나 복제 배치하는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

 

 

가. 테이블 위치 분산

테이블 위치 분산은 테이블의 구조는 변하지 않는다.

또한 테이블이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중복되어 생성되지도 않는다.

다만 설계된 테이블의 위치를 각각 다르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재품목은 본사에서 구입하여 관리하고 각 지사별로 자재품목을 이용하여 제품을 생산한다고 하면 그림과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본사와 지사단위로 분산시킬 수 있다.

테이블의 위치가 위치별로 다르므로 테이블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도식화된 위치별 데이터베이스 문서가 필요하다.

 

 

나. 테이블 분할(Fragmentation) 분산

테이블 분할 분산은 단순히 위치만 다른 곳에 두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테이블을 쪼개어 분산하는 방법이다.

테이블을 분할하여 분산하는 방법은 테이블을 나누는 기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테이블의 로우(Row)단위로 분리하는 수평분할(Horizontal Fragmentation)

두 번째는 테이블을 칼럼(Column) 단위로 분할하는 수직분할(Vertical Fragmentation)

 

수평분할(Horizontal Fragmentation)

지사(Node)에 따라 테이블을 특정 칼럼의 값을 기준으로 로우(Row)를 분리한다. 칼럼은 분리되지 않는다.

모든 데이터가 각 지사별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데이터를 한군데 집합시켜 놓아도 Primary Key에 의해 중복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수평분할을 이용하는 경우는 각 지사(Node)별로 사용하는 로우(Row)가 다를 때 이용한다. 데이터를 수정할 때는 타 지사에 있는 데이터를 원칙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자신의 데이터에 대해서 수정하도록 한다. 각 지사에 존재하는 테이블에 대해서 통합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는 조인(JOIN)이 발생하여 성능 저하가 예상되므로 통합처리 프로세스가 많은지를 먼저 검토한 이후에 많지 않은 경우에 수평분할을 해야 한다.
데이터가 지사별로 별도로 존재하므로 중복은 발생하지 않는다.

대신 타 지사에 있는 데이터가 지사구분이 변경되면 단순히 수정이 발생하는 것 이외에 변경된 지사로 데이터를 이송해야 한다. 한 시점에는 한 지사(Node)에서 하나의 데이터만이 존재하므로 데이터의 무결성은 보장되는 형태이다.
지사(Node)별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는 경우는 데이터베이스가 속한 서버가 지사(Node)에 존재하던지 아니면 본사에 통합해서 존재하건 간에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들은 수평 분할하여 존재한다.

 

 

수직분할(Vertical Fragmentation)

지사(Node)에 따라 테이블 칼럼을 기준으로 컬럼을 분리한다.

로우(Row) 단위로는 분리되지 않는다.

모든 데이터가 각 지사별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칼럼을 기준으로 분할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테이블에는 동일한 Primary Key구조와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지사별로 쪼개어진 테이블들을 조합하면 Primary Key가 동일한 데이터의 조합이 가능해야 하며 하나의 완전한 테이블이 구성되어야 한다.

데이터를 한군데 집합시켜 놓아도 동일한 Primary Key는 하나로 표현하면 되므로 데이터 중복은 발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품의 재고량은 각 지사별로 관리하고 제품에 대한 단가는 본사에서 관리한다고 하면 본사 테이블에는 제품번호, 단가가 존재하고 지사에는 제품번호, 재고량이 존재한다.

 

 

 

 

다. 테이블 복제 분산

테이블 복제(Replication) 분산은 동일한 테이블을 다른 지역이나 서버에서 동시에 생성하여 관리하는 유형이다.

 

1>마스터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의 일부의 내용만 다른 지역이나 서버에 위치시키는 부분복제(Segment Replication)

2>마스터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의 내용을 각 지역이나 서버에 존재시키는 광역복제(Broadcast Replication)

 

 

1>부분복제(Segment Replication)

통합된 테이블을 한군데(본사)에 가지고 있으면서 각 지사별로는 지사에 해당된 로우(Row)를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지사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반드시 본사에 존재하게 된다.

즉 본사의 데이터는 지사데이터의 합이 되는 것이다.

각 지사에서 데이터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체 데이터에 대한 통합처리도 본사에 있는 통합 테이블을 이용하게 되므로 여러 테이블에 조인(JOIN)이 발생하지 않는 빠른 작업 수행이 가능해진다.

 

그림을 보면, 본사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테이블에는 테이블의 전체 내용이 들어가고 각 지사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테이블에는 지사별로 관계된 데이터만 들어가게 된다.

수평분할 분산과 마찬가지로 지사간에는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지 않으나 본사와 지사간에는 데이터의 중복이 항상 발생하게 되는 경우이다.
보통 전국에 있는 고객을 관리할 때 본사에는 전국고객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지사에는 각 지사와 거래하는 고객정보를 관리한다.

본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계, 이동 등을 관리하며 지사에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사별로 빠른 업무수행을 한다.

보통 지사에 데이터가 먼저 발생하고 본사에 데이터는 지사에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하여 발생된다.

 

실제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분산기법에 해당한다.

각 지사별로 업무수행이 용이하고 본사에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고서를 출력하거나 통계를 산정하는 등 다양한 업무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다른 지역간의 데이터를 복제(Replication)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데이터베이스와 서버에 부하(Load)가 발생하므로 보통 실시간(On-Line) 처리에 의해 복사하는 것보다는 야간에 배치 작업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또한 본사와 지사 양쪽 모두 데이터를 수정하여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의 정합성을 일치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한쪽(지사)에서 데이터의 수정이 발생하여 본사로 복제(Replication)를 하도록 한다.

 

 

 

2>광역복제(Broadcast Replication)

통합된 테이블을 한군데(본사)에 가지고 있으면서 각 지사에도 본사와 동일한 데이터를 모두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지사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반드시 본사에 존재하게 된다. 모든 지사에 있는 데이터량과 본사에 있는 데이터량이 다 동일하다. 본사와 지사모두 동일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사나 지사나 데이터처리에 특별한 제약을 받지는 않는다.

광역복제(Broadcast Replication) 역시 실제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분산기법에 해당한다.

부분복제의 경우는 지사에서 데이터에 대한 입력, 수정, 삭제가 발생하여 본사에서 이용하는 방식이 많은 반면 광역복제(Broadcast Replication)의 경우에는 본사에서 데이터가 입력, 수정, 삭제가 되어 지사에서 이용하는 형태가 차이점이다.
부분복제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복제(Replication)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데이터베이스와 서버에 부하(Load)가 발생하므로 보통 실시간(On-Line) 처리에 의해 복사하는 것보다는 배치에 의해 복제가 되도록 한다.

 

 

 

 

라. 테이블 요약 분산

테이블 요약(Summarization) 분산은 지역간에 또는 서버 간에 데이터가 비슷하지만 서로 다른 유형으로 존재하는 경우이용된다.

요약의 방식에 따라,

동일한 테이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분산되어 있는 동일한 내용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된 데이터를 산출하는 방식의 분석요약(Rollup Summarization)

분산되어 있는 다른 내용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된 데이터를 산출하는 방식의 통합요약(Consolidation Summarization)이 있다.

 

1>분석요약(Rollup Replication)

분석요약(Rollup Replication)은 각 지사별로 존재하는 요약정보를 본사에 통합하여 다시 전체에 대해서 요약정보를 산출하는 분산방법이다.

 

예를 들어, 제품별 판매실적이라는 테이블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각 지사에서는 취급제품이 동일하다.

지사별로 판매된 제품에 대해서 지사별로 판매실적이 관리된다.

지사1과 지사2에도 동일한 제품이 취급이 되므로 이를 본사에서 판매실적을 집계할 경우에는 통합된 판매실적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각종 통계데이터를 산정할 경우에, 모든 지사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면 성능이 지연되고 각 지사 서버에 부하를 주기 때문에 업무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통합 통계데이터에 대한 정보제공에 용이한 분산방법이다. 본사에 분석 요약된 테이블을 생성하고 데이터는 역시 일반 업무가 종료되는 야간에 수행하여 생성한다.

 

 

2>통합요약(Consolidation Replication)

통합요약(Consolidation Replication)은 각 지사별로 존재하는 다른 내용의 정보를 본사에 통합하여 다시 전체에 대해서 요약정보를 산출하는 분산방법이다.

 

테이블에 있는 모든 칼럼(Column)과 로우(Row)가 지사에도 동일하게 존재하지만 각 지사에는 타지사와 다른 요약정보를 가지고 있고 본사에는 각 지사의 요약정보를 데이터를 같은 위치에 두는 것으로 통합하여 전체에 대한 요약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표시된다.

 

본사에 통계데이터를 산정하는 유형은 분석요약과 비슷하나 통합요약은 단지 지사에서 산출한 요약정보를 한군데 취합하여 보여주는 형태이다.

분석요약은 지사에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사에서 통합하여 요약 데이터를 산정하였지만

통합요약에서는 지사에서 요약한 정보를 본사에서 취합하여 각 지사별로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다.
각종 통계데이터를 산정할 경우에, 모든 지사의 데이터를 조인하여 처리하면 성능이 지연되고 각 지사 서버에 부하(LOAD)를 주기 때문에 업무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7)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하여 성능이 향상된 사례

그림은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인사 데이터베이스일 때,

분산이 안된 경우의 각 서버에 독립적으로 테이블이 있을 때,

트랜잭션과 복제분산을 통해 테이블의 정보가 양쪽에 있을 때,

트랜잭션 처리의 특성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단순한 개념도 이지만 위의 원리가 복잡한 업무처리에서 효과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분산 설계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가. 성능이 중요한 사이트에 적용해야 한다.

나. 공통코드, 기준정보, 마스터 데이터 등에 대해 분산환경을 구성하면 성능이 좋아진다.

다. 실시간 동기화가 요구되지 않을 때 좋다.

거의 실시간(Near Real Time)의 업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을 때도 분산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라. 특정 서버에 부하가 집중이 될 때 부하를 분산할 때도 좋다.

마. 백업 사이트(Disaster Recovery Site)를 구성할 때 간단하게 분산기능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전문가 자격증 SQLD

1. 데이터모델링의 이해 

2) 데이터 모델과 성능

가.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나. 정규화와 성능

다. 반정규화와 성능

라.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마.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바.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중 

 

 

마.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바.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를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을 바탕으로 정리, 요약했습니다.

 

http://www.dbguide.net/db.db?cmd=view&boardUid=148179&boardConfigUid=9&categoryUid=216&boardIdx=132&boardStep=1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엔터티 속성 관계 식별자 데이터 모델의 이해 1. 엔터티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이해할 때 가장 명확하게 이해해야 하는 개념 중에 하나가 바로 엔터티(Entity)이다. 이것은 우리말로 실체, 객체라��

www.dbguide.net

 

 

해당 사이트에서 더욱 전문적인 데이터 관련 지식을 다루고 있으니, 꼭 한 번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1)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정의

성능 데이터 모델링이란 데이터베이스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설계단계의 데이터베이스 모델링때부터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프라가 갖추어 지지 않은 환경에서 과연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을까? 길이 굽이굽이 굽어져 있고 곳곳에 신호등이 있는 도로에서 아무리 성능이 좋은 차라고 할지라도 과연 그 길을 빠르게 지날 수 있을까? 데이터베이스에서 기본적으로 설계단계에서부터 성능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를 하는 것은 빠르게 지나갈 수 없는 길을 지나가는 차에게 빨리 와달라고 요청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데이터의 용량의 커질수록 기업의 의사결정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는 빠르게 처리되어야 할 필요성을 반증해 준다. 일반적으로 실무 프로젝트에서 보면 잘못된 테이블 디자인 위에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개발자가 구축한 SQL구문에 대해서만 책망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물론 개발자가 SQL구문을 잘못 구성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디자인이 잘못되어 SQL구문을 잘못 작성하도록 구성될 수밖에 없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는 크게 세가지로 이를 보완하면서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 데이터 모델 구조에 의한 성능 저하

나. 데이터가 대용량이 됨으로 인한 성능 저하

다. 인덱스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인덱스를 생성함 인한 성능 저하


일반적으로 성능이라고 하면 데이터조회의 성능을 의미하곤 한다.

그 이유는 데이터입력/수정/삭제는 일시적이고 빈번하지 않고 단건 처리가 많은 반면에,

데이터조회의 경우는 반복적이고 빈번하며 여러 건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일반적인 트랜잭션의 성격이 조회의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업무에 따라서는 입력/수정/삭제의 성능이 중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어떤 작업 유형에 따라 성능 향상을 도모해야 하는지 목표를 분명하게 해야 정확한 성능향상 모델링을 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성능 데이터 모델링이란 데이터베이스 성능향상을 목적으로 설계단계의 데이터 모델링 때부터 정규화, 반정규화, 테이블통합, 테이블분할, 조인구조, PK, FK 등 여러 가지 성능과 관련된 사항이 데이터 모델링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2) 성능 데이터 모델링 수행시점

성능 향상을 위한 비용은 프로젝트 수행 중에 있어서 사전에 할수록 비용이 들지 않는다.

특히 분석/설계 단계에서 데이터 모델에 성능을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할 경우 성능저하에 따른 재업무(Rework)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분석/설계단계에서 데이터 모델은 대충하고, 성능이 저하되는 SQL문장을 튜닝하고, 부족한 하드웨어 용량(CPU, Memory 등)을 증설하는 등의 작업은 추가적인 비용을 소진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데이터의 증가가 빠를수록 성능저하에 따른 성능개선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3) 성능 데이터 모델링 고려사항

가.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한다.
나. 데이터베이스 용량산정을 수행한다.
다.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한다.
라.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를 수행한다.
마. 이력모델의 조정, PK/FK조정, 슈퍼타입/서브타입 조정 등을 수행한다.
바. 성능관점에서 데이터 모델을 검증한다.

 

 

가.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기본적으로 정규화를 완벽하게 수행해야 한다.

정규화된 모델이 데이터를 주요 관심사별로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나. 테이블에 대한 용량산정을 수행하면 어떤 테이블에 데이터가 집중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이 용량산정은 엔터티별로 데이터가 대용량인지를 구분하게 하기 때문에 테이블에 대한 성능고려를 엄격하게 적용해야 하는지 기준이 될 수 있다.
다. 데이터 모델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트랜잭션의 유형에 대한 파악은 CRUD 매트릭스를 보고 파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고,

객체지향 모델링을 적용한다면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보면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화면에서 처리된 데이터의 종류들을 보면 이벤트(입력, 수정, 삭제, 조회)에 따라 테이블에 데이터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유추할 수 있다.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하게 되면 SQL문장의 조인관계 테이블에서 데이터조회의 칼럼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그에 따라 성능을 고려한 데이터 모델을 설계할 수 있다.
라. 이렇게 파악된 용량산정과 트랜잭션의 유형데이터를 근거로 정확하게 테이블에 대해 반정규화를 적용하도록 한다. 반정규화는 테이블, 속성, 관계에 대해 포괄적인 반정규화의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마. 대량 데이터가 처리되는 이력모델에 대해 성능고려를 하고 PK/FK의 순서가 인덱스 특성에 따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도가 크기 때문에 반드시 PK/FK를 성능이 우수한 순서대로 칼럼의 순서를 조정해야 한다.
바. 성능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되었는지를 데이터 모델 검토를 통해 다시 한 번 확인하도록 한다. 데이터 모델 검토 시에 일반적인 데이터 모델 규칙만을 검증하지 말고 충분하게 성능이 고려되었는지를 체크리스트에 포함하여 검증하도록 한다.

 

 


2. 정규화와 성능

 


 

1) 정규화를 통한 성능 향상 전략

데이터 모델링 정규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반복적인 데이터를 분리하고,

각 데이터가 종속된 테이블에 적절하게(프로세스에 의해 데이터의 정합성이 지켜질 수 있어야 함)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이 함수의 종속성을 이용하여 정규화 작업이나 각 오브젝트에 속성을 배치하는 작업에 이용이 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데이터는 속성간의 함수종속성에 근거하여 정규화되어야 한다.


정규화를 수행하면 항상 조회 성능이 저하되어 나타날까?
데이터처리의 성능이 무엇인지 정확히 구분하여 인식할 필요가 있다.

 

가. 조회 성능

나. 입력/수정/삭제 성능

 

두 가지 성능 모두 우수하면 좋겠지만 데이터 모델을 구성에 따라 두 성능이 반전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정규화를 수행한다는 것은 데이터를 결정하는 결정자에 의해 함수적 종속을 가지고 있는 일반속성을 의존자로 하여 입력/수정/삭제 이상을 제거하는 것이다.

데이터의 중복속성을 제거하고 결정자에 의해 동일한 의미의 일반속성이 하나의 테이블로 집약되므로 한 테이블의 데이터 용량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정규화된 테이블은 데이터를 처리할 때 속도가 빨라질 수도 있고 느려질 수도 있는 특성이 있다.

 

그림을 보면 정규화 수행 모델은 데이터를 입력/수정/삭제할 때 일반적으로 반정규화된 테이블에 비해 처리 성능이 향상된다.

단 데이터를 조회할 때에는 처리 조건에 따라 조회 성능이 향상될 수도 있고 저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정규화가 잘 되어 있으면 입력/수정/삭제의 성능이 향상되고, 반정규화를 많이 하면 조회의 성능이 향상된다고 인식될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반정규화만이 조회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고정관념은 탈피되어야 한다.

정규화를 해서 성능이 저하되기는커녕 정규화를 해야만 성능이 향상되는 경우가 아주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2) 함수적 종속성(Functional Dependency)에 근거한 정규화 수행 필요

함수의 종속성(Functional Dependency)은 데이터들이 어떤 기준값에 의해 종속되는 현상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 때 기준값을 결정자(Determinant)라 하고 종속되는 값을 종속자(Dependent)라고 한다.

 

 

그림에서 보면 사람이라는 엔터티는 주민등록번호, 이름, 출생지, 호주라는 속성이 존재한다.

여기에서 이름, 출생지, 호주라는 속성은 주민등록번호 속성에 종속된다.

만약 어떤 사람의 주민등록번호가 신고되면 그 사람의 이름, 출생지, 호주가 생성되어 단지 하나의 값만을 가지게 된다. 이를 기호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주민등록번호 -> (이름, 출생지, 호주)

 

즉 “주민등록번호가 이름, 출생지, 호주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 라고 말할 수 있다.

 

 

 

 

 

 


 

3. 반정규화와 성능

 


1)  반정규화를 통한 성능향상 전략

가. 반정규화의 정의

여기에서 반정규화는 ‘반(Half)’의 의미가 아닌 '반대하다'의 의미이다.

비정규화는 아예 정규화를 수행하지 않은 모델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반정규화를 정의하면 정규화된 엔티티, 속성, 관계에 대해 시스템의 성능향상과 개발(Development)과 운영(Maintenance)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의 기법을 의미한다.

반정규화는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에서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데이터 무결성이 깨질 수 있는 위험을 무릅쓰고 데이터를 중복하여 반정규화를 적용하는 경우는

첫째, 데이터를 조회할 때 디스크 I/O량이 많아서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둘째, 경로가 너무 멀어 조인으로 인한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셋째, 칼럼을 계산하여 읽을 때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정규화는 입력/수정/삭제에 대한 성능을 향상 및 조회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정규화만을 수행하면 엔터티의 갯수가 증가하고 관계가 많아져 일부 여러 개의 조인이 걸려야만 데이터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업무적으로 조회에 대한 처리성능이 중요하다고 판단될 때 부분적으로 반정규화를 고려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정규화의 함수적 종속관계는 위반하지 않지만 데이터의 중복성을 증가시켜야만 데이터조회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반정규화를 통해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프로젝트에서는 설계단계에서 반정규화를 적용하게 된다.

 

 

 

나. 반정규화의 적용방법

반정규화는 난이도 높은 데이터 모델링의 실무기술이다.

반정규화를 적용할 때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무결성이 깨질 가능성이 많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한 이후에 반정규화를 적용하도록 해야 한다.

정규화와 반정규화 사이에는 Trade-Off 관계 즉, 마치 저울추가 양쪽에 존재하여 한쪽이 무거워지면 다른 쪽은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정규화만을 강조하다 보면 성능의 이슈가 발생될 수 있고, 반정규화를 과도하게 적용하다 보면 데이터 무결성이 깨질 수 있는 위험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반정규화를 적용할 때에는 데이터 무결성이 중요함을 알고 데이터 무결성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도록 프로세스 처리에 있어서 안정성이 먼저 확인이 되어야 한다.


2) 반정규화의 기법

넓은 의미에서 반정규화를 고려할 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정규화는 여러 가지가 나타날 수 있다.

 

 

가. 테이블 반정규화

 

 

 

나. 컬럼 반정규화

 

 

다. 관계 반정규화

 

테이블과 컬럼의 반정규화는 데이터 무결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나,

관계의 반정규화는 데이터 무결성을 깨뜨릴 위험을 갖지 않고서도 데이터처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정규화의 기법이 된다.

데이터 모델 전체가 관계로 연결되어 있고 관계가 서로 먼 친척간에 조인관계가 빈번하게 되어 성능저하가 예상이 된다면 관계의 반정규화를 통해 성능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반정규화를 적용할 때 기억해야 할 내용은 데이터를 입력, 수정, 삭제할 때는 성능이 떨어지는 점을 기억해야 하고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에 주의를 해야 한다.

 

 

 

 


 

4.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1) 대량 데이터발생에 따른 테이블 분할 개요

아무리 설계가 잘되어 있는 데이터 모델이라고 하더라도 대량의 데이터가 하나의 테이블에 집약되어 있고,

하나의 하드웨어 공간에 저장되어 있으면 성능저하를 피하기가 힘들다.

이런 원리는 하나의 고속도로 차선을 넓게 시공하여 건설해도 교통량이 많게 되면 이 넓은 도로가 정체현상을 보이는 것과 비슷한 원리로 이해할 수 있다.

일의 처리되는 양이 한군데에 몰리는 현상은 어떤 업무에 있어서 중요한 업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특정 테이블에 있는 경우에 발생이 되는데 이런 경우 트랜잭션이 분산 처리될 수 있도록 테이블단위에서 분할의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가. 하나의 테이블에 데이터가 대량으로 집중되는 경우

나. 하나의 테이블에 여러 개의 칼럼이 존재하여 디스크에 많은 블록을 점유하는 경우

 

가. 대량의 데이터가 하나의 테이블에 존재하게 되면

인덱스를 생성할 때 인덱스의 크기(용량)가 커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인덱스를 찾아가는 단계가 깊어지게 되어 조회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인덱스 크기가 커질 경우 조회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작지만,

데이터를 입력/수정/삭제하는 트랜잭션의 경우 인덱스의 특성상 일량이 증가하여 더 많이 성능의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에 대한 범위 조회시 더 많은 I/O 유발할 수 있게 되어 성능저하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테이블에 많은 양의 데이터가 예상될 경우 파티셔닝을 적용하거나 PK에 의해 테이블을 분할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Oracle의 경우 크게 LIST PARTITION(특정값 지정), RANGE PARTITION(범위), HASH PARTITION(해쉬적용), COMPOSITE PARTITION(범위와 해쉬가 복합) 등이 가능하다.

 

파니셔닝이란 ?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테이블로 보이지만 물리적으로 여러 개의 테이블스페이스에 쪼개어 저장하는 구조

 

 

 


나. 칼럼이 많아지게 되면 물리적인 디스크에 여러 블록에 데이터가 저장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여러 블록에서 데이터를 I/O해야 하는 즉 SQL문장의 성능이 저하될 수 특징을 가지게 된다. 물론, 테이블에 칼럼이 많아지는 현상은 정규화이론인 함수적 종속성에 근거하여 당연히 하나의 테이블에 설계할 수는 있다.

그러나 대량 데이터를 가진 테이블에서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I/O를 유발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이것을 기술적으로 분석하여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으로 분할할 수 있다.

테이블의 1:1 분리로 해결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때로는 하나의 테이블에 300개 이상의 칼럼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컴퓨터 화면 하나에는 볼 수가 없어서 스크롤을 하면서 하나의 테이블에 있는 칼럼을 구경해야 할 정도이다. 이렇게 많은 칼럼은 로우체이닝과 로우마이그레이션이 많아지게 되어 성능이 저하된다.


로우 길이가 너무 길어서 데이터 블록 하나에 데이터가 모두 저장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블록에 걸쳐 하나의 로우가 저장되어 있는 형태가 로우체이닝(Row Chaining) 현상이다.

로우마이그레이션(Row Migration)은 데이터 블록에서 수정이 발생하면 수정된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 블록에서 저장하지 못하고 다른 블록의 빈 공간을 찾아 저장하는 방식이다.

 

로우체이닝과 로우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여 많은 블록에 데이터가 저장되면 데이터베이스 메모리에서 디스크와 I/O(입력/출력)가 발생할 때 불필요하게 I/O가 많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된다.

 

 

 


 

2) 테이블에 대한 수평분할/수직분할의 절차

가. 데이터 모델링을 완성한다.
나. 데이터베이스 용량산정을 한다.
다. 대량 데이터가 처리되는 테이블에 대해서 트랜잭션 처리 패턴을 분석한다.
라. 칼럼 단위로 집중화된 처리가 발생하는지,

로우단위로 집중화된 처리가 발생되는지 분석하여 집중화된 단위로 테이블을 분리하는 것을 검토한다.

 

용량산정은 어느 테이블에 데이터의 양이 대용량이 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특정 테이블의 용량이 대용량인 경우 칼럼의 수가 너무 많은 지 확인한다.

칼럼의 수가 많은 경우 트랜잭션의 특성에 따라 테이블을 1:1 형태로 분리할 수 있는지 검증하면 된다.

칼럼의 수가 적지만 데이터용량이 많아 성능저하가 예상이 되는 경우 테이블에 대해 파티셔닝 전략을 고려하도록 한다.  파티셔닝할 것인지 데이터가 발생되는 시간에 따라 파티셔닝을 할 것인지를 설명된 기준에 따라 적용하면 된다.

 

 

 

 

 

 


 

 

 

데이터 전문가 자격증 SQLD

1. 데이터모델링의 이해 

2) 데이터 모델과 성능

가.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나. 정규화와 성능

다. 반정규화와 성능

라.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마.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성능

바.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성능

 

중 

 

가.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개요

나. 정규화와 성능

다. 반정규화와 성능

라. 대량 데이터에 따른 성능

 

를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을 바탕으로 정리, 요약했습니다.

 

http://www.dbguide.net/db.db?cmd=view&boardUid=148179&boardConfigUid=9&categoryUid=216&boardIdx=132&boardStep=1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엔터티 속성 관계 식별자 데이터 모델의 이해 1. 엔터티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이해할 때 가장 명확하게 이해해야 하는 개념 중에 하나가 바로 엔터티(Entity)이다. 이것은 우리말로 실체, 객체라��

www.dbguide.net

 

 

해당 사이트에서 더욱 전문적인 데이터 관련 지식을 다루고 있으니, 꼭 한 번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식별자 ( Identifiers )


 

1) 식별자의 개념

엔티티에 있는 다양한 인스턴스들은 각각 구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구분자가 바로 식별자이다.

식별자란 하나의 엔터티에 구성되어 있는 여러 개의 속성 중에 엔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을 의미하며, 하나의 엔터티는 반드시 하나의 유일한 식별자가 존재해야 한다.

보통 식별자와 키(Key)를 동일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식별자라는 용어는 업무적으로 구분이 되는 정보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하고, 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접근을 위한 매개체로서 물리 데이터 모델링 단계에서 사용한다.


 

2) 식별자의 특징

 

주식별자인지 아니면 외부식별자인지 등에 따라 특성이 다소 차이가 있다.

먼저 주식별자일 경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대체식별자의 특징은 주식별자의 특징과 일치하지만 외부식별자는 별도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외부식별자의 경우 주식별자 특징과 일치하지 않으며 참조무결성 제약조건(Referential Integrity)에 따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3) 식별자 분류 및 표기법

 

가. 식별자 분류

식별자의 종류는 자신의 엔터티 내에서 대표성을 가지는가에 따라 주식별자(Primary Identifier)와 보조식별자(Alternate Identifier)

엔터티 내에서 스스로 생성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내부식별자와 외부식별자(Foreign Identifier)

단일 속성으로 식별이 되는가에 따라 단일식별자(Single Identifier)와 복합식별자(Composit Identifier)

원래 업무적으로 의미가 있던 식별자 속성을 대체하여 일련번호와 같이 새롭게 만든 식별자를 구분하기 위해 본질식별자와 인조식별자로도 구분할 수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나타내면

 

 

나. 식별자 표기법

식별자에 대한 위의 분류방법을 데이터 모델에서 표현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4) 주식별자 도출기준

 

가. 해당 업무에서 자주 이용되는 속성을 주식별자로 지정한다.

나. 명칭, 내역 등과 같이 이름으로 기술되는 것들은 가능하면 주식별자로 지정하지 않는다.

다. 복합으로 주식별자로 구성할 경우 너무 많은 속성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다.

 

 

가. 해당 업무에서 자주 이용되는 속성을 주식별자로 지정하도록 함.

예를 들면, 직원이라는 엔터티가 있을 때 유일하게 식별가능한 속성으로는 주민등록번호와 사원번호가 존재할 수 있다. 사원번호가 그 회사에서 직원을 관리할 때 흔히 사용되므로 사원번호를 주식별자로 지정하고 주민등록번호는 보조식별자로 사용할 수 있다.

 

 

나. 명칭, 내역 등과 같이 이름으로 기술되는 것은 피한다.

예를 들면, 한 회사에 부서이름이 100개가 있다고 할 때, 각각의 부서이름은 유일하게 구별될 수 있다고 하여 부서이름을 주식별자로 지정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만약 부서이름을 주식별자로 선정하면 물리데이터베이스로 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를 읽을 때 항상 부서이름이 WHERE 조건절에 기술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부서이름은 많은 경우 20자 이상이 될 수 있으므로 조건절에 정확한 부서이름을 기술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이와 같이 명칭이나 내역이 있고 인스턴스들을 식별할 수 있는 다른 구분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는 새로운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한다. 보통 일련번호와 코드를 많이 사용한다.

 

 

다. 속성의 수가 많아지지 않도록 함

주식별자로 선정하기 위한 속성이 복합으로 구성되어 주식별자가 될 수 있을 때 가능하면 주식별자 선정하기 위한 속성의 수가 많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만약 주식별자로 선정된 속성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식엔터티로부터 손자엔터티, 그리고 증손자엔터티까지 계속해서 상속이 되는 속성이고 복잡한 데이터 모델이 구현되어 물리데이터베이스에서 조인으로 인한 성능저하가 예상되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면 속성의 반정규화 측면에서 하나의 테이블에 많은 속성이 있는 것이 인정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주식별자의 속성의 개수가 많다는 것(일반적으로 7~8개 이상)은 새로운 인조식별자(Artificial Identifier)를 생성하여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것이 데이터 모델을 한층 더 단순하게 하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조건절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신청인의 계약금 하나만 가져온다고 하더라도 다음과 같이 복잡한 SQL문장을 구사해야 한다.

 

SELECT 계약금 FROM 접수
WHERE 접수.접수일자 = ‘2010.07.15“ AND 접수.관할부서 = ‘1001’ AND 접수.입력자사번 = ‘AB45588' AND 접수.접수방법코드 = ‘E' AND 접수.신청인구분코드 = ‘01' AND 접수.신청인주민번호 = ‘7007171234567' AND 접수.신청횟수 = ‘1’

이렇게 된 SQL문장을 접수번호라고 하는 인조식별자로 대체했다고 하면 특정신청인의 계약금 조회는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할 수 있다.

 

SELECT 계약금 FROM 접수 WHERE 접수.접수일자 = ‘100120100715001“

 

5) 식별자 관계와 비식별자 관계에 따른 식별자

 

가. 식별자 관계와 비식별자 관계의 결정

외부식별자(Foreign Identifier)는 자기 자신의 엔터티에서 필요한 속성이 아니라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를 통해 자식 쪽에 엔터티에 생성되는 속성을 외부식별자라 하며 데이터베이스 생성 시에 Foreign Key역할을 한다.

관계와 속성을 정의하고 주식별자를 정의하면 논리적인 관계에 의해 자연스럽게 외부식별자가 도출되지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다.

엔터티에 주식별자가 지정되고 엔터티간 관계를 연결하면 부모쪽의 주식별자를 자식엔터티의 속성으로 내려 보낸다.

이 때 자식엔터티에서 부모엔터티로부터 받은 외부식별자를 자신의 주식별자로 이용할 것인지 또는 부모와 연결이 되는 속성으로서만 이용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나. 식별자 관계

부모로부터 받은 식별자를 자식엔터티의 주식별자로 이용하는 경우는 Null값이 오면 안되므로 반드시 부모엔터티가 생성되어야 자기 자신의 엔터티가 생성되는 경우이다.

부모로부터 받은 속성을 자식엔터티가 모두 사용하고 그것만으로 주식별자로 사용한다면 부모엔터티와 자식엔터티의 관계는 1:1의 관계가 될 것이고 만약 부모로부터 받은 속성을 포함하여 다른 부모엔터티에서 받은 속성을 포함하거나 스스로 가지고 있는 속성과 함께 주식별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1:M 관계가 된다.

 

 

이와 같이 자식엔터티의 주식별자로 부모의 주식별자가 상속이 되는 경우를 식별자 관계(Identifying Relationship)라고 지칭한다.

 

 

 

다. 비식별자 관계

부모엔터티로부터 속성을 받았지만 자식엔터티의 주식별자로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속성으로만 사용하는 경우를 비식별자 관계(Non-Identifying Relationship)라고 하며 다음의 네 가지 경우에 비식별자 관계에 의한 외부속성을 생성한다.

 

첫째, 자식엔티티 입장에서 받은 속성이 반드시 필수가 아니기 때문에 부모 없는 자식이 생성될 수 있는 경우
둘째, 엔터티별로 데이터의 생명주기(Life Cycle)를 다르게 관리할 경우이다. 예를 들어 부모엔터티에 인스턴스가 자식의 엔터티와 관계를 가지고 있었지만 자식만 남겨두고 먼저 소멸될 수 있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물리데이터베이스 생성 시 Foreign Key를 연결하지 않는 임시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데이터 모델상에서 관계를 비식별자관계로 조정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셋째, 여러 개의 엔터티가 하나의 엔터티로 통합되어 표현되었는데 각각의 엔터티가 별도의 관계를 가질 때이며 이에 해당된다.

넷째, 자식엔터티에 주식별자로 사용하여도 되지만 자식엔터티에서 별도의 주식별자를 생성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판단될 때 비식별자 관계에 의한 외부식별자로 표현한다.

 

 

 

라. 식별자 관계로만 설정할 경우의 문제점

단지 식별자관계와 비식별자관계에 대한 설정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 개발의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까?

지속적으로 식별자 관계를 연결한 데이터 모델의 PK속성의 수는 데이터 모델의 흐름이 길어질수록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원 부모엔터티 : 1개 2대 부모엔터티 : 2개 이상 = 원부모 1개 + 추가 1개 이상 + 3대 부모엔터티 : 3개 이상 = 원부모 1개 + 2대 1개 + 추가 1개 이상 3대 부모엔터티 : 3개 이상 = 원부모 1개 + 2대 1개 + 3대 1개 + 추가 1개 이상 4대 부모엔터티 : 4개 이상 = 원부모 1개 + 2대 1개 + 3대 1개 + 4 1개 + 추가 1개 이상 ....

이런 경우에는 고작 3개 정도의 엔터티를 조인하더라도 SQL구문의 WHERE절이 매우 길어질 수 있다.

실제로 프로젝트에서는 개발자가 개발할 때 당연히 데이터 모델을 참조하면서 엔터티와 관계를 이용하여 개발해야 하는데 생성된 엔터티 스키마 정보만을 보고 개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위와 같이 조인에 참여하는 주식별자속성의 수가 많을 경우 정확하게 조인관계를 설정하지 않고 즉, 누락하여 개발하는 경우가 간혹 발견되기도 한다.

정리하면 식별자 관계만으로 연결된 데이터 모델의 특징은 주식별자 속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서 개발자 복잡성과 오류가능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마. 비식별자 관계로만 설정할 경우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각각의 엔터티에는 중요한 기준 속성이 있는데 이러한 기준속성은 부모엔터티에 있는 PK속성으로부터 상속되어 자식엔터티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속성의 예로 ‘주민등록번호’, ‘사원번호’, ‘주문번호’, ‘목록번호’ 등이 있다.

이런 속성은 부모엔터티를 조회할 때도 당연히 쓰이지만 자식엔터티의 데이터를 조회할 때도 해당 조건이 조회의 조건으로 걸리는 경우가 다수이다.

그런데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할 때 각 엔터티 간의 관계를 비식별자 관계로 설정하면 이런 유형의 속성이 자식엔터티로 상속이 되지 않아 자식엔터티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때 쓸데없이 부모엔터티까지 찾아가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불필요한 조인이 다량으로 유발되면서 SQL구문도 길어지고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이 된다.

 

 

 

 

 


 

2. 모델링( Modeling )

 


 

1) 모델링의 이해

가. 모델링의 정의

사람이 살아가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현상은 사람, 사물, 개념 등에 의해 발생된다고 할 수 있으며,

모델링은 이것을 표기법에 의해 규칙을 가지고 표기하는 것 자체를 의미한다.

즉 모델을 만들어가는 일 자체를 모델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의 골격을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SQL문장을 기능과 성능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핵심요소이다.

 

나. 모델링의 특징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

 

1>추상화(모형화, 가설적)는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을 한다는 의미로 정리할 수 있다.

즉, 다양한 현상을 일정한 양식인 표기법에 의해 표현한다는 것이다.

2> 단순화는 복잡한 현실세계를 약속된 규약에 의해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로 표현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3> 명확화는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하기 정확하게 현상을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델링을 다시 정의하면 ‘현실세계를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하기 위해 일정한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기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정보시스템 구축에서는 모델링을 계획/분석/설계 할 때 업무를 분석하고 설계하는데 이용하고 이후 구축/운영 단계에서는 변경과 관리의 목적으로 이용하게 된다.

 

 

다. 모델링의 세 가지 관점

모델링은 크게 세 가지 관점인 데이터관점, 프로세스관점,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관점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데이터관점 : 업무가 어떤 데이터와 관련이 있는지 또는 데이터간의 관계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모델링하는 방법

2> 프로세스관점 : 업무가 실제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모델링하는 방법

3> 상관관점 : 업무가 처리하는 일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는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 모델링하는 방법

 

이 포스트에서는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기본 개념이 중요하므로 프로세스와 상관모델링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2)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

데이터 모델링이 중요한 이유는 파급효과(Leverage),

복잡한 정보 요구사항의 간결한 표현(Conciseness), 데이터 품질(Data Quality)로 정리할 수 있다.

 

가. 파급효과(Leverage)

시스템 구축이 완성되어 과정 중 많은 단위 테스트들이 수행된다. 각 단위 테스트들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완료되면 이를 전체를 묶어서 병행테스트, 통합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시점에 데이터 모델의 변경이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를 위해서 데이터 구조의 변경에 따른 표준 영향 분석, 응용 변경 영향 분석 등 많은 영향 분석이 일어난다. 그 이후에 해당 분야의 실제적인 변경 작업이 발생하게 된다. 변경을 해야 하는 데이터 모델의 형태에 따라서 그 영향 정도는 차이가 있겠지만 이 시기의 데이터 구조의 변경으로 인한 일련의 변경작업은 전체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에서 큰 위험요소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시스템 구축 작업 중에서 다른 어떤 설계 과정보다 데이터 설계가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나. 복잡한 정보 요구사항의 간결한 표현(Conciseness)

데이터 모델은 구축할 시스템의 정보 요구사항과 한계를 가장 명확하고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 도구이다. 데이터 모델은 건축물로 비유하자면 설계 도면에 해당한다. 이것은 건축물의 설계 도면이 건축물을 짓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면서 설계자의 생각대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여서 아름다운 건축물을 만들어 내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많은 관련자들이 설계자의 생각대로 정보요구사항을 이해하고 이를 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이상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 모델이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정보 요구사항이 정확하고 간결하게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 데이터 품질(Data Quality)

데이터베이스에 담겨 있는 데이터는 기업의 중요한 자산이다. 이 데이터는 기간이 오래되면 될수록 활용가치는 훨씬 높아진다. 그런데 이러한 오래도록 저장되어진 데이터가 그저 그런 데이터, 정확성이 떨어지는 데이터라고 한다면 어떨까? 이것은 일부 시스템의 기능이 잘못되어 수정하는 성격의 일이 아니다. 이것은 해당 데이터로 얻을 수 있었던 소중한 비즈니스의 기회를 상실할 수도 있는 문제이다.

 


 

3) 데이터 모델링의 유의점

 

가. 중복(Duplication)

데이터 모델은 같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람, 시간, 그리고 장소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지식 응용은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장소에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잘못을 하지 않도록 한다.

 

나. 비유연성(Inflexibility)

데이터 모델을 어떻게 설계했느냐에 따라 사소한 업무변화에도 데이터 모델이 수시로 변경됨으로써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 데이터의 정의를 데이터의 사용 프로세스와 분리함으로써 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 혹은 프로세스의 작은 변화가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에 중대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인다.

 

다. 비일관성(Inconsistency)

데이터의 중복이 없더라도 비일관성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신용 상태에 대한 갱신 없이 고객의 납부 이력 정보를 갱신하는 것이다. 개발자가 다른 데이터와 모순된다는 고려 없이 일련의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 모델링을 할 때 데이터와 데이터간 상호 연관 관계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이러한 위험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데이터 모델링의 3단계 진행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처음 현실세계에서 추상화 수준이 높은 상위 수준을 형상화하기 위해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을 전개한다.

개념적 데이터 모델은 추상화 수준이 높고 업무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모델링을 진행한다.

엔터티(Entity)중심의 상위 수준의 데이터 모델이 완성되면 업무의 구체적인 모습과 흐름에 따른 구체화된 업무중심의 데이터 모델을 만들어 내는데 이것을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링이라고 한다.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링 이후 데이터베이스의 저장구조에 따른 테이블스페이스 등을 고려한 방식을 물리적인 데이터 모델링이라고 한다.

가. 개념적 모델링( Conceptual Data Modeling )

개념 데이터 모델링은 조직, 사용자의 데이터 요구사항을 찾고 분석하는데서 시작한다.

이 단계에 있어서의 주요한 활동은 핵심 엔터티와 그들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엔터티-관계 다이어그램( E-R 다이어그램 : ERD )을 생성하는 것이다.

 

 

나.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Logical Data Modeling)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은 비즈니스 정보의 논리적인 구조와 규칙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기법 또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링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 논리 데이터 모델링이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링이란 모델링 과정이 아닌 별도의 과정을 통해서 조사하고 결정한 사실을 단지 ERD라는 그림으로 그려내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가장 먼저 시작할 기초적인 업무조사를 하는 초기단계에서부터 인간이 결정해야 할 대부분의 사항을 모두 정의하는 시스템 설계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과정의 도구’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 단계에서 수행하는 또 한가지 중요한 활동은 정규화이다.

정규화는 논리 데이터 모델 상세화 과정의 대표적인 활동으로, 논리 데이터 모델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중복을 제거하여 속성들이 가장 적절한 엔터티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있는 데이터구조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논리 데이터 모델의 상세화는 식별자 확정, 정규화, M:M 관계 해소, 참조 무결성 규칙 정의 등을 들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이력 관리에 대한 전략을 정의하여 이를 논리 데이터 모델에 반영함으로써 데이터 모델링을 완료하게 된다.

 

 

다.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Physical Data Modeling)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의 세 번째 단계인 물리 데이터 모델링은 논리 데이터 모델이 데이터 저장소로서 어떻게 컴퓨터 하드웨어에 표현될 것인가를 다룬다.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컴퓨터에 어떻게 저장될 것인가에 대한 정의를 물리적 스키마라고 한다.

이 단계에서 결정되는 것은 테이블, 칼럼 등으로 표현되는 물리적인 저장구조와 사용될 저장 장치, 자료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접근 방법 등이 있다.

계층적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환경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물리적 스키마를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야 한다.

실질적인 현실 프로젝트에서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으로 수행하는 경우는 드물며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과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한꺼번에 수행하여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링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 데이터 모델링에서 데이터 독립성의 이해

가. 데이터 독립성의 필요성

데이터독립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데이터 복잡도를 낮추며 중복된 데이터를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끊임없이 요구되는 사용자 요구사항에 대해 화면과 데이터베이스 간에 서로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 독립성 개념이 출현했다고 할 수 있다.

데이터독립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3단계로 표현된 구조, 독립성, 사상(Mapping) 3가지를 이해하면 된다.

 

 

나. 데이터 베이스 3단계 구조

ANSI/SPARC의 3단계 구성의 데이터독립성 모델은 외부단계와 개념적 단계, 내부적 단계로 구성된 서로 간섭되지 않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다. 데이터 독립성 요소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는 3단계로 구분되고 각각은 상호 독립적인 의미를 가지고 고유한 기능을 가진다.

데이터 모델링은 통합관점의 뷰를 가지고 있는 개념 스키마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라. 두 영역의 데이터독립성

이렇게 3단계로 개념이 분리되면서 각각의 영역에 대한 독립성을 지정하는 용어가 바로 논리적인 독립성과 물리적인 독립성이다.

 

 

즉, 논리적인 데이터독립성은 외부의 변경에도 개념스키마가 변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물론, 새로운 요건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경우 칼럼이 변형될 수 있지만 그러한 변화가 개별 화면이나 프로세스에 의해 변화된다기 보다는 전체 업무적인 요건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마. 사상(Mapping)

영어로 ‘Mapping’은 우리말로 ‘사상’이라고 번역되는데 이것은 상호 독립적인 개념을 연결시켜주는 다리를 뜻한다. 데이터독립성에서는 크게 2가지의 사상이 도출된다.

 

즉, 외부 화면이나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스키마 구조는 전체가 통합된 개념적 스키마와 연결된다는 것이 논리적 사상이다.

또한 통합된 개념적 스키마 구조와 물리적으로 저장된 구조의 물리적인 테이블스페이스와 연결되는 구조가 물리적 사상이다.

데이터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사상을 하는 스크립트(DDL)를 DBA가 필요할 때마다 변경해 주어야 한다.

즉, 각 단계(외부, 개념적, 내부적)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변경사항이 발생했을 때 DBA가 적절하게 작업을 해주기 때문에 독립성이 보장된다고도 할 수 있다.

 

 


 

6)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한 세 가지 개념

 

가. 데이터 모델링의 세 가지 요소

1)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Things)
2) 어떤 것이 가지는 성격(Attributes)
3) 업무가 관여하는 어떤 것 간의 관계(Relationships)

이 세 가지는 데이터 모델링을 완성해 가는 핵심 개념으로서 결국 엔터티, 속성, 관계로 인식되는 것이다.

이 세상의 모든 사람, 사물, 개념 등은 어떤 것, 어떤 것 간의 관계, 성격의 구분을 통해서 분류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원리, 세 가지 관점의 접근 방법을 통해 모델링을 진행하는 것이다.

 

 


 

7) 데이터 모델의 표기법인 ERD의 이해

가. 데이터 모델 표기법

1976년 피터첸(Peter Chen)이 Entity-relationship model(E-R Model)이라는 표기법을 만들었다.

엔터티를 사각형으로 표현하고 관계를 마름모 , 속성을 타원형으로 표현하는 이 표기법은 데이터 모델링에 대한 이론을 배울 때 많이 활용되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대해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주로 이 Chen의 모델 표기법을 통해 배우고 있다. 

 

 

나.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방법

ERD는 각 업무분석에서 도출된 엔터티와 엔터티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도식화된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도식화된 그림 정도로만 생각하지 않고 해당 업무에서 데이터의 흐름과 프로세스와의 연관성을 이야기하는 데 가장 중요한 표기법이자 산출물이다.

UML 표준 표기법을 사용하는 오브젝트 모델링에서는 궁극적으로 해당 업무에 가장 적절한 클래스다이어그램을 그려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면, 정보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링에서는 해당 업무에 가장 적절한 ERD를 그려내는 것이 프로젝트의 지상과제이다.

ERD를 그리는 것은 물론 어떻게 그리든 업무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지만 일정한 규칙을 지정하여 그림으로써 데이터 모델을 누구나 공통된 시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ERD를 작성하는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엔터티를 그린다.

② 엔터티를 적절하게 배치한다.

③ 엔터티간 관계를 설정한다.

④ 관계명을 기술한다.

⑤ 관계의 참여도를 기술한다.

⑥ 관계의 필수여부를 기술한다.

 

 


 

8) 좋은 데이터모델의 요소

 

가. 완전성(Completeness)

나. 중복배제(Non-Redundancy)

다. 업무규칙(Business Rules)

라. 데이터 재사용(Data Reusability)

마. 의사소통(Communication)

 

 

 

 

가. 완전성(Completeness)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가 데이터 모델에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데이터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부분이다.

이 기준이 충족되지 못하면 다른 어떤 평가 기준도 의미가 없어진다.

만약, 보험사의 데이터 모델에 고객의 직업을 관리하기 위한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떨까?

이것은 심각한 데이터 모델의 문제점이다.

 

나. 중복배제(Non-Redundancy)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동일한 사실은 반드시 한 번만 기록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테이블에서 ‘나이’ 칼럼과 ‘생년월일’ 칼럼이 동시에 존재한다면 이것은 데이터 중복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 중복 관리로 인해서 여러 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형태의 데이터 관리 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장공간의 낭비, 중복 관리되고 있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 조작 등이 대표적으로 낭비되는 비용이라고 볼 수 있다.

 

다. 업무규칙(Business Rules)

데이터 모델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데이터 모델링 과정에서 도출되고 규명되는 수많은 업무규칙(Business Rules)을 데이터 모델에 표현하고 이를 해당 데이터 모델을 활용하는 모든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데이터 아키텍처에서 언급되는 논리 데이터 모델(Logical Data Model)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함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보험사의 사원들은 매월 여러 가지 항목에 대해서 급여를 지급받고 있고 이를 데이터로 관리하고 있다. 각 사원들은 월별로 하나 이상의 급여 항목(기본급, 상여금, 수당, 수수료, 등등)에 대해서 급여를 지급받는다. 여기에 더 나아가 각 사원은 사원 구분별(내근, 설계사, 계약직, 대리점 등)로 위의 급여 항목을 차등적으로 지급받는다는 업무규칙이 있다.

이러한 내용을 데이터 모델에 나타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당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개발자, 관리자 등)가 해당 규칙에 대해서 동일한 판단을 하고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라. 데이터 재사용(Data Reusability)

데이터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데이터의 통합성과 독립성에 대해서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현재 대부분의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신규 정보시스템의 구축 작업은 회사 전체 관점에서 공통 데이터를 도출하고,

이를 전 영역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설계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 설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는 것이 통합 모델이다.

통합 모델이어야만 데이터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 의사소통(Communication)

데이터 모델의 역할 중에서도 중요한 것이 의사소통이다.

데이터 모델은 대상으로 하는 업무를 데이터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설계하여 나오는 최종 산출물이다.

데이터를 분석 과정에서는 자연스럽게 많은 업무 규칙들이 도출된다.

이 과정에서 도출되는 많은 업무 규칙들은 데이터 모델에 엔터티, 서브타입, 속성, 관계 등의 형태로 최대한 자세하게 표현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사원’ 테이블에는 어떠한 ‘사원구분’을 가지는 사원들이 존재하는지, ‘정규직’, ‘임시직’ 사원들이 같이 존재하는지, 아니면 또 다른 형태의 사원들이 존재하는지를 표현해야 한다. 더 나아가서 ‘호봉’이라는 속성은 ‘정규직’일 때에만 존재하는 속성인데 이러한 업무 규칙이 데이터 모델에 표현되어야 한다. 또한, 우리가 관리하는 사원들 중에서 ‘정규직’ 사원들만이 ‘급여’ 테이블과 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부분은 개별 관계로 데이터 모델에 표현되어야 한다. 이렇게 표현된 많은 업무 규칙들을 해당 정보시스템을 운용, 관리하는 많은 관련자들이 설계자가 정의한 업무 규칙들을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이고 정보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데이터 모델이 진정한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바. 통합성(Integration)

기업들이 과거부터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왔던 방법은 개별 업무별로의 단위 정보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재까지 유지보수를 해오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점진적인 확장과 보완의 방법으로 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왔기 때문에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조직관점에서 보면 여러 곳에서 동일한 데이터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특히 이러한 데이터 중에서도 고객, 상품 등과 같이 마스터 성격의 데이터들이 분할되어 관리됨으로 인해 전체 조직 관점에서 데이터 품질, 관리, 활용 관점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가장 바람직한 데이터 구조의 형태는 동일한 데이터는 조직의 전체에서 한 번만 정의되고 이를 여러 다른 영역에서 참조, 활용하는 것이다.

물론 이 때에 성능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데이터를 중복시키는 경우는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를 한 번만 정의하기 위해서는 공유 데이터에 대한 구조를 여러 업무 영역에서 공동으로 사용하기 용이하게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데이터 아키텍처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

 

 

 

 

 

데이터 전문가 자격증 SQLD

1. 데이터모델링의 이해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가. 엔티티 

나. 속성

다. 관계

라. 식별자

마. 데이터 모델의 이해

 

중 

 

라. 식별자

마. 데이터 모델의 이해

 

를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을 바탕으로 정리, 요약했습니다.

 

http://www.dbguide.net/db.db?cmd=view&boardUid=148179&boardConfigUid=9&categoryUid=216&boardIdx=132&boardStep=1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엔터티 속성 관계 식별자 데이터 모델의 이해 1. 엔터티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이해할 때 가장 명확하게 이해해야 하는 개념 중에 하나가 바로 엔터티(Entity)이다. 이것은 우리말로 실체, 객체라��

www.dbguide.net

 

 

해당 사이트에서 더욱 전문적인 데이터 관련 지식을 다루고 있으니, 꼭 한 번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개체( Entity : 엔티티 )

 


1) 엔티티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이해할 때 가장 명확하게 이해해야 하는 개념 중에 하나가 바로 엔터티(Entity)이다. 이것은 우리말로 실체, 객체라고 번역하고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가. 엔터티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의 명사에 해당한다.

나. 엔터티는 업무상 관리가 필요한 관심사에 해당한다.

다. 엔터티는 저장이 되기 위한 어떤 것(Thing)이다.

 

엔터티는 그 집합에 속하는 개체들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속성(Attribute)을 갖는데, 예를 들어 ‘학생’이라는 엔터티는 학번, 이름, 이수학점, 등록일자, 생일, 주소, 전화번호, 전공 등의 속성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또한 엔터티는 인스턴스의 집합이라고 말할 수 있고, 반대로 인스턴스라는 것은 엔터티의 하나의 값에 해당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목은 수학, 영어, 국어가 존재할 수 있는데 수학, 영어, 국어는 각각이 과목이라는 엔터티의 인스턴스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건이라는 엔터티에는 사건번호2010-001, 2010-002 등의 사건이 인스턴스가 될 수 있다. 엔터티를 이해할 때 눈에 보이는(Tangible)한 것만 엔터티로 생각해서는 안되며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 등에 대해서도 엔터티로서 인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실제 업무상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Thing)이 엔터티로 도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더더욱 주의할 필요가 있다.

 


2) 엔터티와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엔터티를 표현하는 방법은 각각의 표기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사각형으로 표현된다.

다만 이 안에 표현되는 속성의 표현방법이 조금씩 다를 뿐이다.

엔터티와 엔터티간의 ERD를 그리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엔티티에 대한 표기법도 [IE 표기법]과 [Barker 표기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엔티티의 특징

 

가.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

나.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다. 두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

라. 업무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한다.

마. 속성을 포함해야 한다.

바.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

 

 

가.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환자는 발생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일반회사의 인사시스템에서는 비록 직원들에 의해서 환자가 발생이 되지만 인사업무 영역에서 환자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 다른 예로 병원에서는 환자가 해당 업무의 가장 중요한 엔터티가 되어 꼭 관리해야 할 엔터티가 된다. 이와 같이 엔터티를 도출할 때는 업무영역 내에서 관리할 필요가 있는지를 먼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유일한 식별자는 그 엔터티의 인스턴스만의 고유한 이름이다. 두 개 이상의 엔터티를 대변하면 그 식별자는 잘못 설계된 것이다. 예를 들어 직원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이름이나 사원번호가 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름은 동명이인(同名異人)이 될 수 있으므로 유일하게 식별될 수 없다. 사원번호는 회사에 입사한 사람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번호이므로 유일한 식별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다. 두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

엔티티의 특징 중 “한 개”가 아니라 “두 개 이상”이라는 집합개념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인스턴스가 한 개 밖에 없으면 집합이 아니므로 엔티티 성립이 되지 않는다.

 

 

라. 업무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한다.

네 번째는 업무프로세스(Business Process)가 그 엔터티를 반드시 이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첫 번째 정의에서처럼 업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엔터티로 선정하였는데 업무프로세스에 의해 전혀 이용되지 않는다면 업무 분석이 정확하게 안되어 엔터티가 잘못 선정되거나 업무프로세스 도출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마. 속성을 포함해야 한다.

다섯 번째는 엔터티에는 반드시 속성(Attributes)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속성을 포함하지 않고 엔터티의 이름만 가지고 있는 경우는 관계가 생략되어 있거나 업무 분석이 미진하여 속성정보가 누락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또한 주식별자만 존재하고 일반속성은 전혀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절한 엔터티라고 할 수 없다.

단, 예외적으로 관계엔터티(Associative Entity)의 경우는 주식별자 속성만 가지고 있어도 엔터티로 인정한다.

 

 

바.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

여섯 번째는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엔터티가 도출되었다는 것은 해당 업무내에서 업무적인 연관성(존재적 연관성, 행위적 연관성)을 가지고 다른 엔터티와의 연관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관계가 설정되지 않은 엔터티의 도출은 부적절한 엔터티가 도출되었거나 아니면 다른 엔터티와 적절한 관계를 찾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4) 엔티티의 분류

가. 유무(有無)형에 따른 분류

일반적으로 엔터티는 유무형에 따라 유형엔터티, 개념엔터티, 사건엔터티로 구분된다.

 

유형엔터티(Tangible Entity)는 물리적인 형태가 있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활용되는 엔터티로 업무로부터 엔터티를 구분하기가 가장 용이하다. 예를 들면, 사원, 물품, 강사 등이 이에 해당된다.

 

개념엔터티(Conceptual Entity)는 물리적인 형태는 존재하지 않고 관리해야 할 개념적 정보로 구분이 된다.

예를 들면, 조직, 보험상품 등이 이에 해당된다.


사건 엔터티(Event Entity)는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엔터티로서 비교적 발생량이 많으며 각종 통계자료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문, 청구, 미납 등이 이에 해당된다.

 

나. 발생시점(發生時點)에 따른 분류

엔터티의 발생시점에 따라 기본/키엔터티(Fundamental Entity, Key Entity), 중심엔터티(Main Entity), 행위엔터티(Active Entity)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엔터티
기본엔터티란 그 업무에 원래 존재하는 정보로서 다른 엔터티와 관계에 의해 생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생성이 가능하고 자신은 타 엔터티의 부모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른 엔터티로부터 주식별자를 상속받지 않고 자신의 고유한 주식별자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사원, 부서, 고객, 상품, 자재 등이 기본엔터티가 될 수 있다.

 

중심엔터티
중심엔터티란 기본엔터티로부터 발생되고 그 업무에 있어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데이터의 양이 많이 발생되고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를 통해 많은 행위엔터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계약, 사고, 예금원장, 청구, 주문, 매출 등이 될 수 있다.

 

행위엔터티
행위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부모엔터티로부터 발생되고 자주 내용이 바뀌거나 데이터량이 증가된다.

분석초기 단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으며 상세 설계단계나 프로세스와 상관모델링을 진행하면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목록, 사원변경이력 등이 포함된다.


5) 엔티티 명명규칙

 

가. 가능하면 현업업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한다.

나. 가능하면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 단수명사를 사용한다.

라. 모든 엔터티에서 유일하게 이름이 부여되어야 한다.

마. 엔터티 생성 의미대로 이름을 부여한다.

 

 

 

 


 

2. 속성( Attribute )

 


1) 속성의 개념

속성이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사물(事物)의 성질, 특징 또는 본질적인 성질, 그것이 없다면 실체를 생각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링 관점에서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2) 속성에 대한 정리와 표기법

가.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가 존재한다.

나. 엔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

다.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값만 갖는다.

 


3) 속성의 특징

가. 엔터티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

나. 정규화 이론에 근간하여 정해진 주식별자에 함수적 종속성을 가져야 한다.

다. 하나의 속성에는 한 개의 값만을 가진다. 하나의 속성에 여러 개의 값이 있는 다중값일 경우 별도의 엔터티를 이용하여 분리한다.

 

 


4) 속성의 분류

가.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

나. 엔터티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속성은 이 두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 속성의 특성에 따른 분류

 

속성은 업무분석을 통해 바로 정의한 기본속성(Basic Attribute),

원래 업무상 존재하지는 않지만 설계를 하면서 도출해내는 설계속성(Designed Attribute),

다른 속성으로부터 계산이나 변형이 되어 생성되는 파생속성(Derived Attribute)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본속성
기본 속성은 업무로부터 추출한 모든 속성이 여기에 해당한다.

코드성 데이터, 엔터티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일련번호, 그리고 다른 속성을 계산하거나 영향을 받아 생성된 속성을 제외한 모든 속성은 기본속성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업무로부터 분석한 속성이라도 이미 업무상 코드로 정의한 속성이 많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도 속성의 값이 원래 속성을 나타내지 못하므로 기본속성이 되지 않는다.

 

설계속성
설계속성은 업무상 필요한 데이터 이외에 데이터 모델링을 위해, 업무를 규칙화하기 위해 속성을 새로 만들거나 변형하여 정의하는 속성이다. 대개 코드성 속성은 원래 속성을 업무상 필요에 의해 변형하여 만든 설계속성이고 일련번호와 같은 속성은 단일(Unique)한 식별자를 부여하기 위해 모델 상에서 새로 정의하는 설계속성이다.

 

파생속성
파생속성은 다른 속성에 영향을 받아 발생하는 속성으로서 보통 계산된 값들이 이에 해당된다. 다른 속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프로세스 설계 시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의해야 할 점이 많으며 가급적 파생속성을 적게 정의하는 것이 좋다.

 

 

 

나. 엔터티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

 

엔터티를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을 PK(Primary Key)속성,

다른 엔터티와의 관계에서 포함된 속성을 FK(Foreign Key)속성,

엔터티에 포함되어 있고 PK, FK에 포함되지 않은 속성을 일반속성이라 한다.

 


5) 도메인 ( Domain )

각 속성은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가 있는데 이를 그 속성의 도메인(Domain)이라 한다.

예를 들면 학생이라는 엔터티가 있을 때 학점이라는 속성의 도메인은 0.0에서 4.0 사이의 실수 값이며,

주소라는 속성은 길이가 20자리 이내인 문자열로 정의할 수 있다.

각 속성은 도메인 이외의 값을 갖지 못한다.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면, 엔터티 내에서 속성에 대한 데이터타입과 크기 그리고 제약사항을 지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6) 속성의 명명규칙

가. 해당 업무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부여한다.

나. 서술식 속성명은 사용하지 않는다.

다. 약어사용은 가급적 제한한다.

다. 전체 데이터모델에서 유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3. 관계 ( Relationship )

 

 


1) 관계의 정의

관계(Relationship)를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상호 연관성이 있는 상태로 말할 수 있다. 

데이터 모델에 대입하여 정의해 보면, “엔터티의 인스턴스 사이의 논리적인 연관성으로서 존재의 형태로서나 행위로서 서로에게 연관성이 부여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2) 관계의 분류

관계는 두 가지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가. 존재에 의한 관계

나. 행위에 의한 관계

최초의 ERD(Chen 모델)에서 관계는 속성을 가질 수 있었으나 요즘 ERD에서는 관계를 위해 속성을 도출하지는 않는다. 관계의 표현에는 이항 관계(Binary Relationship), 삼항 관계(Ternary Relationship), n항 관계가 존재할 수 있는데 실제에 있어서 삼항 관계 이상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3) 관계의 표기법

관계에서는 표기법이 상당히 복잡하고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음 3가지 개념과 함께 표기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가. 관계명(Membership) : 관계의 이름

나. 관계차수(Cardinality) : 1:1, 1:M, M:N

다. 관계선택사양(Optionality) : 필수관계, 선택관계

 

 

 

가. 관계명

관계명은 엔터티가 관계에 참여하는 형태를 지칭한다.

각각의 관계는 두 개의 관계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각의 관계명에 의해 두 가지의 관점으로 표현될 수 있다.

나. 관계차수

두 개의 엔터티간 관계에서 참여자의 수를 표현하는 것을 관계차수(Cardinality)라고 한다.

가장 일반적인 관계차수 표현방법은 1:M, 1:1, M:N이다.

관계차수를 표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Crow’s Foot 모델에서는 선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한 개가 참여하는 경우는 실선을 그대로 유지하고 다수가 참여한 경우는(Many) 까마귀발과 같은 모양으로 그려준다.

 

 

다. 관계선택사양

만약 지하철 문이 닫히지 않았는데 지하철이 떠난다면 무슨 일이 발생할까?

아마도 어떤 사람은 머리만 지하철 안에 들어오고 몸은 밖에 있는 채로 끌려갈 것이고,

또 어떤 사람은 가방만 지하철에 실어 보내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물론 지하철운행과 지하철문의 관계는 이렇게 설계되지 않아 위와 같은 어처구니없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반드시 지하철의 문이 닫혀야만 지하철은 출발한다.”

지하철출발과 지하철문닫힘은 필수(Mandatory)적으로 연결 관계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이 데이터 모델의 관계에서는 필수참여관계(Mandatory)가 된다.

또 지하철 안내방송시스템의 예를 들어보자. 지하철의 출발을 알리는 안내방송은 지하철의 출발과 상관없이 방송해도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정해진 시간에 방송을 하면 승객에게 정보로서 유익하겠지만 꼭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지하철의 출발과 지하철방송과는 정보로서 관련은 있지만 서로가 필수적인(Mandatory) 관계는 아닌 선택적인 관계(Optional)가 되는 것이다.

 

필수참여는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가 반드시 관계를 가지는, 타 엔터티의 참여자와 연결이 되어야 하는 관계이다.

선택참여된 항목은 물리속성에서 Foreign Key로 연결될 경우 Null을 허용할 수 있는 항목이 된다.

만약 선택참여로 지정해야 할 관계를 필수참여로 잘못 지정하면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가 발생할 때 반드시 한 개의 트랜잭션으로 제어해야 하는 제약사항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설계단계에서 필수참여와 선택참여는 개발시점에 업무 로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분이므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4) 관계를 읽는 방법

 

첫째. 기준(Source) 엔터티를 한 개(One) 또는 각(Each)으로 읽는다.

둘째. 대상(Target) 엔터티의 관계참여도 즉 개수(하나, 하나 이상)를 읽는다.

셋째. 관계선택사양과 관계명을 읽는다.

 

 

 

 

 

 

 


 

데이터 전문가 자격증 SQLD

1. 데이터모델링의 이해 

1)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가. 엔티티 

나. 속성

다. 관계

라. 식별자

마. 데이터 모델의 이해

 

중 

 

가. 엔티티

나. 속성

다. 관계

 

를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을 바탕으로 정리, 요약했습니다.

 

http://www.dbguide.net/db.db?cmd=view&boardUid=148179&boardConfigUid=9&categoryUid=216&boardIdx=132&boardStep=1

 

데이터 전문가 지식포털 DBGuide.net

엔터티 속성 관계 식별자 데이터 모델의 이해 1. 엔터티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이해할 때 가장 명확하게 이해해야 하는 개념 중에 하나가 바로 엔터티(Entity)이다. 이것은 우리말로 실체, 객체라��

www.dbguide.net

 

 

해당 사이트에서 더욱 전문적인 데이터 관련 지식을 다루고 있으니, 꼭 한 번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