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프링에 내장된 서버가 있지만, 톰캣 서버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당연하지만 이 작업은 톰캣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가능한 작업입니다.

 

2020/11/04 - [개발환경/개발환경구축] - 톰캣 (Tomcat) 9.0 설치

 

톰캣 (Tomcat) 9.0 설치

자바(Java)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JSP(Java Server Page)나 서블릿(Servlet)을 이용해야하는데, 이 때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구축이 되어 있어야합니다. 컴퓨터에 WAS를 설치

boyboy94.tistory.com

 


1. STS 설정

스프링 서버창을 우클릭한 후, New->Server를 클릭합니다.

 

 

Apache->Tomcat v9.0 Server를 선택합니다.

 

 

 

Browse 버튼을 클릭하여 톰캣이 설치된 경로를 입력합니다.

 

 

Add 버튼으로 추가할 프로젝트를 옆으로 이동시킵니다. 이 작업은 서버를 구동할 때, 언제든 변경할 수 있습니다.

 

 

톰캣 서버가 추가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버를 구동할 때 새로운 창에서 프로젝트 결과물을 확인하고 싶습니다.

상단의 Window->Preferences 를 클릭한 후

General->Web Browser 창의 설정을 변경해주도록 합니다.

전 크롬을 선택했습니다.

 


 

 

 

톰캣 서버를 선택하고 완료버튼을 클릭합니다.

앞으로 계속해서 톰캣 서버를 사용하고싶으면

Always use this server when running this project에 체크하면 됩니다.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습니다.

주소 뒤에 붙어있는 컨텍스트명 /ex 를 없애보겠습니다.

사용하는 서버를 더블클릭하고, 모듈(Modules)탭에서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수정(Edit)버튼을 클릭합니다.

 

 

 

 

Path를 /ex 에서 /로 변경합니다.

 

 

 

다시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최상위 주소(/)로 실행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창에 확인되는 글자들에서 외계어(글자 깨짐) 현상이 확인됩니다.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다음 게시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2020/09/16 - [개발환경/개발환경구축+] - 스프링 한글 설정 [ UTF-8 로 인코딩 변경하기 ]

 

 

 

이상입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십시오.

반응형

'개발환경 > 개발환경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SQL Developer 설치  (0) 2022.01.31
[DB] Oracle 19c Enterprise Edition 설치  (0) 2022.01.25
톰캣 (Tomcat) 9.0 설치  (0) 2020.11.04
이클립스 (Eclipse) 설치  (0) 2020.11.04
스프링 (STS) 설치  (0) 2020.11.04
반응형

 

자바(Java)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JSP(Java Server Page)나 서블릿(Servlet)을 이용해야하는데,

이 때 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구축이 되어 있어야합니다.

컴퓨터에 WAS를 설치하면, 해당 컴퓨터를 마치 서버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중 오픈소스(무료)인 아파치 톰캣을 설치하겠습니다.

 

참고로 아파치 톰캣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JDK가 설치되어 있어야만 한다.

 

2020/11/04 - [개발환경/개발환경구축] - JDK 설치 및 환경변수 등록

 

JDK 설치 및 환경변수 등록

자바 개발의 기초인 JDK(Java Development Kit) 설치와 환경변수 등록입니다. 이 게시물에서 사용한 JDK의 버전은 1.8입니다. 흔히 접하는 버전인 JDK 1.8은 썬(Sun Microsystems)사가 오라클로 인수된 후 첫번째

boyboy94.tistory.com


1. 톰캣 웹페이지에서 압축파일을 다운받고 압축해제합니다.

 

tomcat.apache.org/download-90.cgi

 

Apache Tomcat® - Apache Tomcat 9 Software Downloads

Welcome to the Apache Tomcat® 9.x software download page. This page provides download links for obtaining the latest version of Tomcat 9.0.x software, as well as links to the archives of older releases. Unsure which version you need? Specification version

tomcat.apache.org

 

자신이 사용하는 운영체제의 버전에 맞게 톰캣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저는 윈도우 64비트를 사용하므로, 64-bit Windows zip을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원하는 경로에 압축을 해제합니다.

 


2. 환경변수 등록

 

내PC 또는 내 컴퓨터 우클릭 ->속성->고급 시스템 설정-> 환경 변수

 

 

 

새로운 시스템 변수를 등록합니다.

 

 

변수 이름 : CATALINA_HOME
변수 값 : D:\Program\apache-tomcat-9.0.39-windows-x64

위와 같이 입력하되, 변수 값은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한 경로를 입력합니다.

 


3. Tomcat 서버 확인

 

톰캣 폴더 내부의 bin 폴더에 startup, shutdown 파일이 있는데

각각 톰캣 실행과 톰캣 종료 파일입니다.

 

 

startup 파일을 실행하면 프롬프트 창이 열립니다.

만약 프롬프트창이 열리지않거나, 열리더라도 바로 종료가 될 경우에는 환경변수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그런 것이므로 다시 확인합니다.

 

 

 

이제 브라우저를 실행해서 주소창에 localhost:8080을 입력하면 톰캣이 나옵니다.

켜져있는 startup 파일을 종료하고 다시 입력 시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상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개발환경 > 개발환경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 Oracle 19c Enterprise Edition 설치  (0) 2022.01.25
스프링(STS) 톰캣 서버 추가  (0) 2020.11.04
이클립스 (Eclipse) 설치  (0) 2020.11.04
스프링 (STS) 설치  (0) 2020.11.04
JDK 설치 및 환경변수 등록  (0) 2020.11.04
반응형

JDK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보다 편한 개발을 위해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통합개발환경) 이클립스를 설치합니다.

 


1. 이클립스 웹페이지를 방문하여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www.eclipse.org/downloads/

 

Eclipse Downloads | The Eclipse Foundation

The Eclipse Foundation - home to a global community, the Eclipse IDE, Jakarta EE and over 375 open source projects, including runtimes, tools and frameworks.

www.eclipse.org

 


2. 자신의 환경에 맞게 eclipse 버전을 선택합니다.

 

이클립스 버전 JRE/JDK 버전
2020-09 JAVA 11 or newer JRE/JDK
2020-03 JAVA 8 or newer JRE/JDK
2019-12 JAVA 8 or newer JRE/JDK
2019-09 JAVA 8 or newer JRE/JDK
2019-06 JAVA 8 or newer JRE/JDK
2019-03 JAVA 8 or newer JRE/JDK
2018-09 JAVA 8 or newer JRE/JDK
Photon JAVA 8 or newer JRE/JDK
Oxygen JAVA 8 or newer JRE/JDK
Neon JAVA 8 or newer JRE/JDK
Mars JAVA 7 JRE/JDK
Luna JAVA 7 JRE/JDK
Kepler JAVA 6 JRE/JDK

 

wiki.eclipse.org/Eclipse/Installation

 

Eclipse/Installation - Eclipsepedia

Installing Eclipse is relatively easy, but does involve a few steps and software from at least two different sources. Eclipse is a Java-based application and, as such, requires a Java Runtime Environment or Java Development Kit (JRE or JDK) in order to ru

wiki.eclipse.org

 

에 따른 버전 정보입니다.

가장 최신 버전인 2020-09 버전 같은 경우는 JDK/JRE의 버전11 이상을 권장합니다.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에는 Photon 버전으로 다운 받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윈도우 x64비트 운영체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Windows x86_64로 다운로드를 진행했습니다.

다양한 패키지가 있는데, 저는 EE로 다운로드하겠습니다. EE는 웹개발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압축파일을 압축해제합니다.

본인이 잘 관리할 수 있는 폴더에 구분하도록 합니다.

 

 


3. 실행한 후에 워크스페이스를 지정합니다.

 


4.이클립스의 상단 메뉴에서 Window->Preferences를 선택합니다.

 

 

Genera->Workspace에서 인코딩을 UTF-8로 변경하고 적용합니다.

 

 

Java->Compiler에서 JDK버전이 자신의 JDK버전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Java->Installed JREs에서 JRE의 경로를 확인합니다.

이상입니다.

좋은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반응형

 

 

IDE 중 하나인 eclipse를 실행했을 때

'JVM is not suitable for this product' 오류가 발생할 경우

JDK의 버전이 이클립스의 버전과 맞지않기 때문이다.

가장 최근에 나온 이클립스 2020-09 버전은 JDK버전 11이상을 권장하기 때문에 이전에 많이 이용 된

JDK 1.8이용자들 같은 경우에는 이클립스의 버전을 낮추거나 JDK의 버전을 올려주어야 정상작동가능하다.

 


 

 

1.자신의 이클립스 설치폴더에 있는 eclipse.ini 파일을 실행한다.

 

 

 

2.자신의 JDK 버전에 맞게 수정해준다.

 

 

 

그리고 재실행하면 해결!

이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인 STS (Spring Tool Suite) 를 설치합니다.

 

이클립스 자체에서 플러그인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이번에는 스프링 사이트에서 압축형을

다운로드 받겠습니다.

 

 


https://spring.io/tools

 

Spring Tools 4 is the next generation of Spring tooling

Largely rebuilt from scratch, Spring Tools 4 provides world-class support for developing Spring-based enterprise applications, whether you prefer Eclipse, Visual Studio Code, or Theia IDE.

spring.io

1. 해당 스프링 페이지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다운받습니다.

저는 윈도우 64비트라서 WINDOWS 64BIT를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자신의 운영체제 확인하는 방법


 

 

2. 다운로드 받은 .jar 파일의 압축을 원하는 경로에 풀어주도록 합니다.

 

 

 

3. 이런 식으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contents.zip 파일의 압축을 한번 더 풀어주도록 합니다.

 

4. 드디어 SpringToolSuite4 아이콘이 보입니다!

센스있게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어주도록 합니다.

 

 


 

5. STS를 실행해서 원하는 경로에 워크스페이스를 지정해주도록 합니다.

 

 

6. Window->Preferences->General 의 Workspace에서 인코딩을 UTF-8로 변경하고 적용버튼을 클릭합니다.

 

7. Java->Compiler에서 JDK설치 버전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8.Java->Installed JREs에서 JRE의 경로를 확인합니다.

JRE는 JDK를 설치할 때 같이 설치되며, JDK와 버전이 동일합니다.

 

 

이상입니다.


1-1. MVC 프로젝트 사용하기 (Spring Legacy Project)

STS를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MVC 프로젝트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인데

Spring Legacy Project가 보이지를 않는다.

 

 

STS4 에서는 Spring Legacy Project가 없어졌습니다.

하지만 굳이 STS3를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1-2.Help->Eclipse Marketplace->sts 검색

 

 

STS 를 입력하고 검색하면 보이는,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Tools 4 를 Install합니다.

 

 

설치를 진행하고

STS를 재시작해준다.

 


 

1-3.Spring Legacy Project 생성

다시 Spring Legacy Project를 생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JRE System Library의 버전이 1.6인데

내 JRE 의 버전은 1.8이므로 변경해주도록 한다.

프로젝트를 우클릭->Properties

Maven->Project Facets에서 JDK 버전에 맞게 변경해준다.

 

 

Java Compiler에서도 JDK 버전이 잘못되어 있다면

박스 체크를 해제 후에, 자신의 JDK 버전에 맞게 바꿔준다.

 

이상으로 Spring Legacy Project까지 생성을 끝냈습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자바 개발의 기초인 JDK(Java Development Kit) 설치와 환경변수 등록입니다.

이 게시물에서 사용한 JDK의 버전은 1.8입니다.

흔히 접하는 버전인 JDK 1.8은 썬(Sun Microsystems)사가 오라클로 인수된 후 첫번째 버전으로서

그 후 2017년9월 발행된 JDK 9 = JDK 1.9 버전 느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1.오라클의 JDK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

오라클 웹사이트는 개발자라면 이용이 불가피하므로 회원가입을 해주도록 합니다.

 

www.oracle.com/java/technologies/javase/javase-jdk8-downloads.html

저 같은 경우에는 제 운영체제에 맞게 Windows x64를 다운받았습니다.

 

 

 


자신의 운영체제 확인하는 방법

 


 

 

 

기본 설정 그대로 설치합니다.

이걸로 손쉽게 JDK 설치를 끝냈습니다.

하지만 자바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경변수 등록을 해야합니다.

 

 


2.내 PC 또는 내 컴퓨터->속성->고급 시스템 설정을 클릭합니다.

 

3.환경 변수-> 시스템 변수 새로만들기

 

새로운 시스템 변수를 등록합니다.

 

 

변수 이름 : JAVA_HOME
변수 값 : C:\Program Files\Java\jdk1.8.0_271

위와 같이 입력하되, 변수 값 같은 경우에는 자신의 컴퓨터에 실제로 설치된 경로를 입력합니다.

 


4.시스템 변수 Path 편집

 

새로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JAVA_HOME%\bin

을 입력한 뒤, 가장 위로 올립니다.

만약, 위 화면처럼 한줄씩 입력되어있는게 아니라, 모든 내용이 한줄에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앞에 입력하고 뒤에 세미콜론(;)을 꼭 입력해야 합니다.

 

cmd 를 실행하여 

javac -version

을 입력하여 설치된 자바 버전이 출력되면 완료입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 게시물을 작성하는데 이용한 IDE(통합 개발 환경)는 이클립스입니다.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파일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집니다.

실제로 우리가 코딩하는 부분은 클래스(.class) 파일입니다. (물론 실제로는 .java파일입니다.)

 

게시물을 읽기 전에 자신의 저장폴더와 비교하면서 읽으시면 더 깊은 이해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공통 명명규칙
-대소문자 구분을 함.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특수문자는 '_' 와 '$'만 사용가능.
-예약어(시스템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이름. ex)Public Private 등 )를 사용하면 안됨.

 


[ 워크스페이스(WorkSpace) ]

-하나의 프로그램 단위.

-규모가 큰 프로그램은 여러 프로젝트로 이루어질 수 있음.

-가장 상위 폴더로 생성됨.

 

 

◎워크스페이스 명명 규칙
-공통 규칙에 따름

 


[ 프로젝트(Project) ]

-하나의 실행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단위이다.

-워크스페이스의 하위 폴더로 생성됨.

 

 

 

프로젝트 생성 전

 

 

프로젝트 생성 후

 

◎프로젝트 명명 규칙
-대소문자 구분없이 시작 가능.
-하지만 첫 문자를 비롯해 모든 단어는 대문자로 시작하는 것을 권장.

 

 


 

[ 패키지(Package) ]

-클래스를 기능별로 묶어둔 일종의 카테고리이다.

-하나의 패키지만 만들 수도 있고 "상위패키지.하위패키지.최하위패키지" 형태의 트리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상위 패키지 폴더 아래에 하위 패키지 폴더가 생성됨.

-소스코드를 저장하는 ".java" 파일의 패키지는 "src" 폴더에 저장됨.

-.java 파일을 컴파일해서 생성된 ".class" 파일의 패키지는 "bin" 폴더에 저장됨.

 

생성된 프로젝트 폴더

 

 

패키지를 생성

 

 

패키지를 "상위패키지.하위패키지.최하위패키지" 형태의 트리구조로 생성하니까

실제로 세 개의 폴더가 생성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패키지 명명 규칙
-단어 갯수와 상관없이 소문자로 시작.

-모두 소문자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 (가독성을 위해서는 위반해도 됨)
-가급적 한 단어 사용을 권장. (상위 패키지 한단어, 하위 패키지 한단어씩)
-여러 사람 또는 기업과 협업할 경우 표준 패턴을 따름. (개인용으로 쓸 때는 무의미)

 


 

[ 클래스(Class) ]

-비슷한 유형의 메소드(함수)와 변수를 모아놓은 소스코드.

-실제로 작성된 최하위의 소스코드 파일.

-이클립스 에디터에 우리가 작성하는 코딩은 하나의 클래스를 생성하는 작업이다.

-클래스가 속한 최하위 패키지의 폴더에 저장됨.

-클래스의 파일명은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해야 함.

 

실제 클래스를 생성

 

bin\park\jin\seong 폴더에 Practice .class파일 생성
src\park\jin\seong 폴더에 Practice .java파일 생성

 

◎클래스 명명 규칙
-대문자로 시작.
-명사로 시작.
-두 번째 단어부터는 소문자도 되지만 대문자로 시작하는 것을 권장.

 


[ 메소드(methods) ]

-클래스에 정의되어있는 함수.

-하나의 클래스에서 다른 클래스의 함수를 실행할 때 실제로 이 메소드를 실행하는 것.

-패키지A.패키지B.패키지C.클래스D.메소드 의 형태로 불러와서 실행함.

 

 

◎메소드 명명 규칙
-소문자로 시작
-동사로 시작
-두 번째 단어부터는 소문자도 되지만 대문자를 권장.

 

 

 


 

 

소문자 시작과 대문자 시작이 강제되는 이유는 패키지.클래스 형태로 호출되는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클래스와 패키지를 구분하기 위함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마지막에 대문자로 시작되는 것을 클래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 꼭 기억하셔야 할 것은 명명 규칙과 아래 그림의 구조입니다.

이상입니다.

 

 

반응형

'JAVA > 기본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Object 클래스  (0) 2022.08.23
#4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  (0) 2022.08.22
#3 인터페이스  (0) 2022.08.22
#1 자바 개발 핵심 원칙  (0) 2022.07.11
[Java] 컴파일(Compile)의 이해  (0) 2020.11.04
반응형

 


웹개발을한다면 누구나 한 번 쯤은 외계어현상 ( 한글 깨짐 ) 을 경험합니다.

이는 파일의 인코딩 방식과 웹 브라우저가 사용하는 인코딩 방식이 서로 달라서 나타나는 문제로

하나의 인코딩 방식으로 통일 해 주어야 합니다.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는 인코딩 방식으로는 크게 euc-kr 방식과 UTF-8 방식이 있습니다.

euc-kr 방식은 원래 영어만을 고려한 1byte 길이의 ASCII 라는 인코딩 방식을 확장하여

한글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2byte 길이의 국가 언어 코드입니다.
국가 언어코드. 즉 우리나라에서만 쓸 수 있도록 만든 코드이며 세계 어디에서나 공통으로 사용되는 인코딩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환경(외국 등)에서는 한글 페이지를 제대로 볼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인코딩 방식이 개발되었는데, 그중 가장 보편화된 인코딩이 UTF-8입니다. (3byte)
예전에는 용량이 작은 euc-kr 방식을 선호하는 곳들도 많았으나,

현재는 용량 문제보다 표준화 및 글로벌 환경을 고려해야 하므로 UTF-8 인코딩 방식을 강력하게 권고하는 바입니다.

 

열심히 코딩해서 실행시킨 결과물이 외계어일 때 기분은.....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이클립스 및 STS 기본 인코딩 변경법

 

 

최신 IDE(통합 개발 환경)를 사용 하신다면, 기본적으로 인코딩 방식은 UTF-8로 설정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Windows 운영체제는 기본 인코딩 값으로 여전히 euc-kr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페이지가 UTF-8 방식으로 인코딩 되었음을 알려야 합니다.

 

 

 

1. 이클립스 및 STS 의 상단 메뉴에서

Window -> Preferences

 

 

 

 

2. 왼쪽 카테고리 [General] -> [Workspace] 를 클릭한다.

Workspace 화면에서 Other 탭을 UTF-8로 설정 후 Apply 버튼을 클릭한다.

 

 

 

 

 

3. 왼쪽 카테고리 [Web] - > [CSS Files] 를 클릭한다.

Encoding 탭을 UTF-8로 설정 후 Apply 버튼을 클릭한다.

 

 

 

 

 

4. 왼쪽 카테고리 [Web] -> [HTML Files] 를 클릭한다.

Encoding 탭을 UTF-8로 설정 후 Apply 버튼을 클릭한다.

 

 

 

 

 

5. 왼쪽 카테고리 [Web] -> [JSP Files] 를 클릭한다.

Encoding 탭을 UTF-8로 설정 후 Apply 버튼을 클릭한다.

 

 

 

 

 

6. [General] -> [Content Types] 를 클릭한다.

Contents types의 Text를 클릭하고

Default encoding 에 UTF-8 입력 후 Update 버튼을 클릭한다,

Apply and Close 로 적용하고 종료.

 

 

 

 

 

 

7. 프로젝트의 

src -> main -> webapp -> WEB-INF -> web.xml  파일에 한글 필터를 추가합니다!

 

 

 

<filter> 
    <filter-name>encodingFilter</filter-name> 
    <filter-class>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filter-class> 
    <init-param> 
       <param-name>encoding</param-name> 
       <param-value>UTF-8</param-value> 
    </init-param> 
    <init-param> 
       <param-name>forceEncoding</param-name> 
       <param-value>true</param-value> 
    </init-param> 
 </filter> 
 <filter-mapping> 
    <filter-name>encodingFilter</filter-name> 
    <url-pattern>/*</url-pattern> 
 </filter-mapping> 

 

 

 

8.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jsp 상단부에 디렉티브를 추가합니다.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이제 정상적으로 한글이 표시됩니다.

 


 

이상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